우선 문제의 마지막은 배열의 마지막 값이 있는 위치에서 맨 앞까지(0)출력하는 것인데
192페이지에 보면 마지막에 답이 i=C,1,-1인데요
C는 마지막 위치를 가리키고 0까지 출력을 해야 디버깅에서처럼 11110이 나오는 거 아닌가요?
근데 1로 되어있다면 1111까지만 출력되고 안나올 거 같습니다..
c코드에서는 i=c;i>=0;i-로 i가 0보다 크거나 같을동안 반복을 돌게되는데
왜 알고리즘에서는 1까지돌고 끝나는지 이해가 가지않네요. ㅠ
설명부탁드립니당
안녕하세요.
순서도에서는 배열의 위치가 1부터 시작하지만
C언어에서는 배열의 위치가 0부터 시작합니다. 그 차이로 인해 혼동을 하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순서도는 특정 언어를 대상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통적인 내용으로 제시됩니다.
그래서 언어마다 달라지는 함수사용, 배열 첨자 등은 처리조건으로 제시될 것입니다.
혹 순서도에 배열의 위치가 제시되지 않는다면 배열의 첨자 변수의 초기값과 증가값을 보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순서도와 달리 C나 자바는 언어의 특성상 배열의 위치가 무조건 0부터 시작이니 이점도 염두에 두고 학습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3-23 11:28:49
안녕하세요.
순서도에서는 배열의 위치가 1부터 시작하지만
C언어에서는 배열의 위치가 0부터 시작합니다. 그 차이로 인해 혼동을 하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순서도는 특정 언어를 대상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통적인 내용으로 제시됩니다.
그래서 언어마다 달라지는 함수사용, 배열 첨자 등은 처리조건으로 제시될 것입니다.
혹 순서도에 배열의 위치가 제시되지 않는다면 배열의 첨자 변수의 초기값과 증가값을 보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순서도와 달리 C나 자바는 언어의 특성상 배열의 위치가 무조건 0부터 시작이니 이점도 염두에 두고 학습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