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교재 213쪽 순서도 조건관련 질문있습니다.
도서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산업기사 포함) 특별개정판
페이지
213
조회수
51
작성일
2017-03-22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교재 213쪽 순서도 조건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해당 순서도에서 M:X 비교하는 조건문 즉, 기존에 저장된 최소값과 5와 비교대상의 차이 값을 비교하는 조건문에서 최소값 M이 큰 경우에만 (M>X) 최소값 M에 X를 치환하고 5와의 차이 값이 최소인 자료를 S에 치환하는데요. 이렇게 되면 근사값(변수 S)이 나중에 찾은 값으로 출력이 안되지 않나요?

예를들어 K배열에 1,2,3,4,7,6,4,3,6,9을 받았다고 가정하면 S의 최종 값이 6이 출력되어야 하는데 순서도 대로 디버깅하면 S의 최종값은 4가 되는거 아닌가요? (최소 값과 차이 값이 같을 경우 별도의 변동사항 없이 다음 숫자가 입력되기 때문에)

답변
2017-03-23 09:26:17

안녕하세요.

210쪽의 내용은 근사값이 2개인 경우 나중에 찾은 값을 출력합니다.

그래서 L<=J 인 경우 최소값 변경이 수행됩니다.

213쪽 잠깐만요의 내용은

근사값이 2개인 경우 나중 값을 무시하는 것으로

M>X 인 경우에만 최소값 변경이 수행됩니다.

두 방식의 차이점을 기억하고 실제 시험에서는 문제나 처리조건에 근사값이 2개 이상인 경우의 처리 방법에 대한 언급이 있거나

비교 부분의 관계 연산자 형태를 보고 파악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7-03-23 09:26:17

    안녕하세요.

    210쪽의 내용은 근사값이 2개인 경우 나중에 찾은 값을 출력합니다.

    그래서 L<=J 인 경우 최소값 변경이 수행됩니다.

    213쪽 잠깐만요의 내용은

    근사값이 2개인 경우 나중 값을 무시하는 것으로

    M>X 인 경우에만 최소값 변경이 수행됩니다.

    두 방식의 차이점을 기억하고 실제 시험에서는 문제나 처리조건에 근사값이 2개 이상인 경우의 처리 방법에 대한 언급이 있거나

    비교 부분의 관계 연산자 형태를 보고 파악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