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버깅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다른 분들이 올린 질문의 해답을 찾아봤습니다.
제가 의문이었던 것은
i j
99 () no
왜 i가 100보다 작은데
no라고 해답이 되어있는지 이해가 안됏는데요
디버깅이 세로만 맞으면 된다는 답변이 대부분이더라고요
가로는 맞출필요가 없다고 하시는데
그러면 디버깅을 할때 yes라고 써도
답이 맞는건가요?
i j i<100
99 () yes
100 () no 출력값(100, ())
이렇게 해도 틀린건 아닌건가요?
그리고 디버깅이 실제로 시험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실제 시험에서는 디버깅을 작성하지는 않습니다.
디버깅은 순서도의 빈 괄호의 알맞은 내용을 찾기 위해 수험생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풀이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공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디버깅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디버깅을 과정은 채점 대상이 아니니 굳이 틀을 갖춰 공간을 많이 사용하면서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가로의 위치까지 맞춰가면서 디버깅을 수행해도 됩니다. 수행 방법은 수험생 임의대로 해도 되기 때문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3-15 09:10:01
안녕하세요.
실제 시험에서는 디버깅을 작성하지는 않습니다.
디버깅은 순서도의 빈 괄호의 알맞은 내용을 찾기 위해 수험생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풀이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공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디버깅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디버깅을 과정은 채점 대상이 아니니 굳이 틀을 갖춰 공간을 많이 사용하면서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가로의 위치까지 맞춰가면서 디버깅을 수행해도 됩니다. 수행 방법은 수험생 임의대로 해도 되기 때문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