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에 불함수 예제는 아니구요.
2의n승개로(2,4,8...)큰 순서로 크게크게 묶으라고 하였는데
혹시 묶는과정에서 한번 묶였던 것과 서로 겹쳐도 되나요?
예를 들면 크게(8)한번 묶고 인접해 있는 그보다 작은 크기(4)와 묶는 과정에서
서로 겹쳐도 묶여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하나 더 질문하면, 교재에 관련은 없고 11년1회 A형 기출풀고 있는데
전자계산기 36번,37번과 같은 문제(계산문제)가 나오나요?
교재에 아무리 찾아봐도 찾을 수가 없네요
무슨 기호가 us이렇게 되어있네요.
어떻게 푸나요?
안녕하세요.
1)
카르노 맵을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이웃하는 칸을 최대 2의 승수개로 묶는데, 한번 묶인 칸이 다른 묶음에 또 묶여도 되고, 1묶음에 묶여지는 칸이 많을수록, 그리고 묶음의 전체 개수가 적을수록 간소화됩니다.
2)
36번
최근 들어 이와 비슷한 유형의 문제가 종종 출제되고 있습니다. 차분히 생각해 보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꼭 이해하고 넘어가세요.
ㆍ하나의 명령 사이클을 실행하는 데 2개의 머신 사이클이 필요하고 각 머신 사이클은 5개의 머신 스테이트로 되어 있다고 했으니 1개의 명령 사이클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클록은 총 10클록입니다.
ㆍ10MHz는 1초에 10 × 1,000,000의 클록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ㆍ그러므로 1클록에 필요한 시간은 1 / 10,000,000 = 0.0000001 = 0.1㎲입니다.
∴ 10클록에 필요한 시간은 0.1㎲ × 10 = 1㎲입니다.
※ M = 10^6
※ 1㎲ = 10^-6 = 0.000001
37번
자주 출제되는 문제는 아닙니다.
Fetch Cycle의 기능을 숙지하고, 동작 순서는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을 정도로만 이해해 두세요.
인출 단계(Fetch Cycle)
ㆍFetch Cycle은 명령어를 주기억장치에서 중앙처리장치의 명령 레지스터로 가져와 해독하는 단계이다.
ㆍ해독된 명령어의 모드 비트에 따라 직접주소와 간접주소를 판단한다.
- 모드 비트가 0이면 직접주소이므로 Execute 단계로 변천한다.
- 모드 비트가 1이면 간접주소이므로 Indirect 단계로 변천한다.
ㆍ동작 순서
Micro Operation |
의 미 |
MAR ← PC |
PC에 있는 번지를 MAR에 전송시킴 |
MBR ← M[MAR], PC ← PC + 1 |
ㆍ메모리에서 MAR이 지정하는 위치의 값을 MBR에 전송함 ㆍ다음에 실행할 명령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PC의 값을 1 증가시킴 |
IR ← MBR[OP], I ← MBR[I] |
ㆍ명령어의 OP-Code 부분을 명령 레지스터에 전송함 ※현재 MBR에는 주기억장치에서 읽어온 명령이 들어 있음 ㆍ명령어의 모드 비트를 플립플롭에 전송함 |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08-07 09:19:41
안녕하세요.
1)
카르노 맵을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이웃하는 칸을 최대 2의 승수개로 묶는데, 한번 묶인 칸이 다른 묶음에 또 묶여도 되고, 1묶음에 묶여지는 칸이 많을수록, 그리고 묶음의 전체 개수가 적을수록 간소화됩니다.
2)
36번
최근 들어 이와 비슷한 유형의 문제가 종종 출제되고 있습니다. 차분히 생각해 보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꼭 이해하고 넘어가세요.
ㆍ하나의 명령 사이클을 실행하는 데 2개의 머신 사이클이 필요하고 각 머신 사이클은 5개의 머신 스테이트로 되어 있다고 했으니 1개의 명령 사이클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클록은 총 10클록입니다.
ㆍ10MHz는 1초에 10 × 1,000,000의 클록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ㆍ그러므로 1클록에 필요한 시간은 1 / 10,000,000 = 0.0000001 = 0.1㎲입니다.
∴ 10클록에 필요한 시간은 0.1㎲ × 10 = 1㎲입니다.
※ M = 10^6
※ 1㎲ = 10^-6 = 0.000001
37번
자주 출제되는 문제는 아닙니다.
Fetch Cycle의 기능을 숙지하고, 동작 순서는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을 정도로만 이해해 두세요.
인출 단계(Fetch Cycle)
ㆍFetch Cycle은 명령어를 주기억장치에서 중앙처리장치의 명령 레지스터로 가져와 해독하는 단계이다.
ㆍ해독된 명령어의 모드 비트에 따라 직접주소와 간접주소를 판단한다.
- 모드 비트가 0이면 직접주소이므로 Execute 단계로 변천한다.
- 모드 비트가 1이면 간접주소이므로 Indirect 단계로 변천한다.
ㆍ동작 순서
Micro Operation
의 미
MAR ← PC
PC에 있는 번지를 MAR에 전송시킴
MBR ← M[MAR],
PC ← PC + 1
ㆍ메모리에서 MAR이 지정하는 위치의 값을 MBR에 전송함
ㆍ다음에 실행할 명령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PC의 값을 1 증가시킴
IR ← MBR[OP],
I ← MBR[I]
ㆍ명령어의 OP-Code 부분을 명령 레지스터에 전송함
※현재 MBR에는 주기억장치에서 읽어온 명령이 들어 있음
ㆍ명령어의 모드 비트를 플립플롭에 전송함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