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 분석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실제적인 첫 단계로, 사용자의 요구에 대해 이해하는 첫 단계라 할 수 있다." 입니다.
영상 강의도 확인하였는데 당연하다면서 넘어가셔서 문의 남깁니다.
먼저 바로앞 p44에서 5. 요구사항 분석에는 첫 단계라는 뉘앙스의 문장이 없습니다.
4. 요구사항 도출 에 소프트웨어가 해결해야 할 문제를 이해하는 첫번째 단계이다. 라고 되어있어서 도출이 답이 라고 판단했습니다,,,,
명쾌한 답을 원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2025년 정보처리 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교재의 46페이지라고 선택을 하여 질문을 주셨는데
"정보처리 기사 필기 기본서 교재"의 문제였네요
질문시 교재를 정확하게 선택 부탁드립니다
문제에서 말하는 요구사항 분석은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의 계획, 요구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의 주요 단계 중 요구분석을 의미합니다.
생명주기의 요구분석은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인 '도출, 분석, 명세, 확인' 과정을 거쳐 수행되죠.
즉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의 '도출, 분석, 명세, 확인'은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에서 '요구분석'의 하위 프로세스에 해당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5-04-18 11:45:1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2025년 정보처리 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교재의 46페이지라고 선택을 하여 질문을 주셨는데
"정보처리 기사 필기 기본서 교재"의 문제였네요
질문시 교재를 정확하게 선택 부탁드립니다
문제에서 말하는 요구사항 분석은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의 계획, 요구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의 주요 단계 중 요구분석을 의미합니다.
생명주기의 요구분석은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인 '도출, 분석, 명세, 확인' 과정을 거쳐 수행되죠.
즉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의 '도출, 분석, 명세, 확인'은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에서 '요구분석'의 하위 프로세스에 해당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박*화2025-04-19 19:38:43아이고 교재 오기입 죄송합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단어가 같아서 계속 헷갈리네요,, 설명주셔서 이해한대로 정리해보면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의 단계중 요구분석 하위에 요구사항 분석을 포함한 도출, 분석, 명세, 확인이 있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책을 다시 보는순간 6섹션 5번의 "요구사항 분석"(내용으로 보면 하위단계)과 7섹션의 "요구사항 분석"(내용으로 보면,,,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의 요구분석)이 명칭이 같은데 문제에서 "요구 분석"이라고만 칭하면 둘 중 뭘 말하는지 모르겠어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