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공부 방향에 대해 질문 드렸었던 학생입니다!
도서
2024 시나공 퀵이지 정보처리기사 필기 단기완성
페이지
0
조회수
177
작성일
2024-11-18
작성자
하*훈
첨부파일

현재 소프트웨어공학과 3학년인 학생입니다.

다가오는 12월 23일에 종강을 하는대로 정보처리기사를 준비해 필기와 실기를 내년 1회에 응시하려고 합니다.

먼저 어느정도 베이스가 있는지 말씀드려야 정확한 판단을 해주실 것 같아 말씀드리겠습니다.

현재 알고리즘, 자료구조, 컴퓨터네트워크, 컴퓨터구조, 데이터베이스시스템 등 핵심이 되는 강의들 모두 A+로 잘 마친 상태입니다.

프로그래밍 과목도 java, C, C++, python 등 수강하고 백준같은 알고리즘도 조금씩 풀고있어, 코드해석이나 코딩에는 조금 익숙한 편입니다.


저번에 말씀해 주시기를 필기 3회분과 실기 3회분을 종강 전까지 풀어보고 공부 방향을 결정해보자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오늘 필기 2회분을 더 풀어보았고,

여전히 몇문제는 잘 모르는 개념들이 나오기도 했지만 추측해서라도 체크하며 풀었습니다. 필기는 3회 모두 70문제 이상 맞추며 합격이었습니다.


그리고 실기는 오늘 cbt사이트를 이용해 24년 1회차를 풀어 보았습니다. 처음보는 이론문제는 5문제 정도였고 이문제들은 일단 건너뛰고 풀었습니다.

나머지 문제가 프로그래밍 문제와 sql같은 데이터베이스 문제, 네트워크문제가 대부분이었어서 나머지는 수월하게 풀었던 거 같습니다. 5개제외하고, 15개중 13개를 맞춰서 총점 65점이 나왔습니다.

아직 실기는 2회분 정도는 더 풀어봐야겠지만, 24년부터 실기에 프로그래밍과 sql문제의 비중이 크게 늘어난다고 들었는데, 만약 그렇다면 앞으로의 공부방법을 어떻게 해야할지 아래의 질문들로 여쭤보고 싶습니다.


질문1 .

이전 질문글에서 필기와 실기가 이론이 겹치기에 종강 후 퀵이지 실기 교재로만 이론을 공부하다가 필기 2주 전부터 필기 기출들을 풀어보며 필기를 공부하는 방법을 여쭤보았었는데,

우려하셨던 부분인 필기의 이론문제가 기출과 상이하게 출제되며, 지엽적인 이론이 나올 수 있다는 부분을 고려하여,

바로 실기를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 더 지엽적인 이론을 다루는 필기에 대비하여, 먼저 필기 교재를 구매해 이론을 공부하는 것을 추천하시나요?

=> 종강 후 25년 퀵이지 교재를 구매해서 필기에 집중해 이론을 단단히 다지고, 이미 익숙한 데이터베이스, 컴퓨터네트워크, C, java, python의 문법이나 개념들을 추가적으로 복습한다.

그러다가 필기 2주전부터 기출을 돌리며 안정적인 점수로 필기에 합격한다.(3월 초 예상)가 계획입니다.



질문2.

만약 위 방법을 더 권장하신다면, 필기를 1회에 합격한 후에 실기 공부법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 4월 말에는 중간고사가 있어서, 필기 합격 후 3월 초~4월 초 약 한달의 기간동안에 실기 공부를 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4월 말에 중간고사를 마치고 약2주동안의 시간에는 그동안 공부했던것들을 총정리하고 다시 기출을 회독한 후 5월 중순에 실기에 응시할 계획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실기를 공부할 한달의 기간동안

Q1) 필기와 실기의 이론이 거의 겹치기 때문에 필기의 이론 베이스를 잊지 않게 복습하는 정도로만 이론을 공부하고, 프로그래밍과 sql 문제들에 집중하여 공부하면서, 실기 기출들을 돌리는 방법이 더 나을까요?


Q2) 아니면 실기용으로 따로 이론을 새로 공부해야 할까요?



질문3.

질문2.의 Q1을 권장하신다면, 종강 후 퀵이지 필기 교재를 구매하여 바로 공부할 것 같습니다. 만약 아직 25년 퀵이지 필기 교재가 출간되지 않았다면 24년걸로 구매할 예정입나다. 24년교재의 내용들로 필기 이론들을 공부해도 크게 지장 없을까요?


저자님께서 질문 1,2,3에 대해 답변을 주신다면, 그것을 토대로 공부의 방향을 더 명확하게 정해 공부해 나가겠습니다!

항상 수험생들을 위해 수고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답변
2024-11-18 10:04:20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기사 필기 시험의 경우 기출문제에서 동일한 문제가 출제되는 비중이 현저히 낮습니다

필기 교재를 구입을 추천하는것이 아니라 회원님께서 얼마나 많은 내용을 알고 계신지를 제가 알수가 없으니

회원님께서 직접 기출문제를 직접 풀어보시고 필기 교재를 구입하여 공부를 해야하는지, 교재 구입을 하지 않아도 될것인지를 판단하라는 것입니다

필기 기출문제를 풀었을때 70점정도 나왔고, 필기 기출문제를 풀어봤을때 대부분 아는 내용이고, 필기 기출문제를 풀었을때 햇갈려서 틀렸다면 회원님께서 그냥 공부를 하셔도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만약 모르는 내용이 많고, 몰라서 틀린 문제들이 많다면 필기 교재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실기 시험의 경우 기출문제에서 동일한 문제가 거의 출제가 되고 있지 않습니다.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SQL 등은 회원님께서 많이 알고 계실듯하나

실기 또한 회원님께서 얼마나 많은 내용을 알고 계신지를 제가 알수가 없으니

회원님께서 직접 기출문제를 풀었을때 65점 정도 나왔다면 회원님께서 계획하신대로 "퀵이지 실기" 교재를 구입하여 공부를 하시면 될듯합니다


명쾌하게 답변을 드리고 싶지만 각 사람들마다 얼마나 많은 내용을 알고 있는지,

어떤 부분이 약한지, 공부하는 스타일도 모두 다르기 때문에 명쾌하게 답변을 드릴 수가 없네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4-11-18 10:04:20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기사 필기 시험의 경우 기출문제에서 동일한 문제가 출제되는 비중이 현저히 낮습니다

    필기 교재를 구입을 추천하는것이 아니라 회원님께서 얼마나 많은 내용을 알고 계신지를 제가 알수가 없으니

    회원님께서 직접 기출문제를 직접 풀어보시고 필기 교재를 구입하여 공부를 해야하는지, 교재 구입을 하지 않아도 될것인지를 판단하라는 것입니다

    필기 기출문제를 풀었을때 70점정도 나왔고, 필기 기출문제를 풀어봤을때 대부분 아는 내용이고, 필기 기출문제를 풀었을때 햇갈려서 틀렸다면 회원님께서 그냥 공부를 하셔도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만약 모르는 내용이 많고, 몰라서 틀린 문제들이 많다면 필기 교재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실기 시험의 경우 기출문제에서 동일한 문제가 거의 출제가 되고 있지 않습니다.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SQL 등은 회원님께서 많이 알고 계실듯하나

    실기 또한 회원님께서 얼마나 많은 내용을 알고 계신지를 제가 알수가 없으니

    회원님께서 직접 기출문제를 풀었을때 65점 정도 나왔다면 회원님께서 계획하신대로 "퀵이지 실기" 교재를 구입하여 공부를 하시면 될듯합니다


    명쾌하게 답변을 드리고 싶지만 각 사람들마다 얼마나 많은 내용을 알고 있는지,

    어떤 부분이 약한지, 공부하는 스타일도 모두 다르기 때문에 명쾌하게 답변을 드릴 수가 없네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