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넷 마스크에 대해 조금 헷갈려서 문의드립니다.
99쪽의 78번 문제에서 192.168.1.69/26의 서브넷 마스크는 8비트 중 왼쪽에서 2비트가 네트워크 ID이고 나머지 6비트가 호스트 ID라고 하셨고
235쪽의 69번 문제에서도 192.168.1.0/24의 서브넷 마스크는 FLSM 방식을 이용해서 4개로 나눌 때 위와 동일하게 8비트 중 왼쪽에서 2비트가 네트워크 ID이고 나머지 6비트가 호스트 ID라고 합니다.
제가 /26의 의미는 26비트가 네트워크 ID 나머지는 호스트 ID라고 알고 있는데
69번은 최종적으로 192.168.1.196/26이 되는 건가요?
그리고 FLSM 방식이 뭔지 설명해주실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네~~
회원님께서 이해하고 계신것이 맞습니다
/20 의 경우 왼쪽부터 20비트가 네트워크 ID이고 나머지 비트가 호스트 ID 입니다.
/26 의 경우 왼쪽부터 26비트가 네트워크 ID이고 나머지 비트가 호스트 ID 입니다.
235페이지 69번 문제의 경우 4번째 네트워크에서 4번째 사용가능한 IP주소는 192.168.1.196이니
이것을 표현하면 192.168.1.196/26 으로 표현되는것 입니다.
FLSM방식은 서브넷 길이를 고정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만약 /24의 네트워크가 있다면 이때 사용할 수 있는 IP주소는 256개가 되고
이것을 2개의 네트워크로 동일한 크기로 나누어 128개씩 IP주소를 주면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4-07-08 18:57:33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네~~
회원님께서 이해하고 계신것이 맞습니다
/20 의 경우 왼쪽부터 20비트가 네트워크 ID이고 나머지 비트가 호스트 ID 입니다.
/26 의 경우 왼쪽부터 26비트가 네트워크 ID이고 나머지 비트가 호스트 ID 입니다.
235페이지 69번 문제의 경우 4번째 네트워크에서 4번째 사용가능한 IP주소는 192.168.1.196이니
이것을 표현하면 192.168.1.196/26 으로 표현되는것 입니다.
FLSM방식은 서브넷 길이를 고정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만약 /24의 네트워크가 있다면 이때 사용할 수 있는 IP주소는 256개가 되고
이것을 2개의 네트워크로 동일한 크기로 나누어 128개씩 IP주소를 주면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