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페이스 설계와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에서 워크스루와 인스펙션의 혼용에 관하여
앞서 초판 4쇄를 사용하고 있음을 밝힙니다.
> 요구사항 검증은 인터페이스의 설계 및 구현 전에... - p149
> 요구사항 검토: 요구사항 명세서의 오류 확인 및 표준 준수 여부 등의 결함 여부를 검토 담당자들이 수작업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동료검사, 워크스루, 인스펙션 등이 있다 - p150
여기까지만 보면 일반적인 설명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바로 옆 "전문가의 조언"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 동료검토는 개발자가 동료 개발자들과 코드를 검토하는 것이고, 워크스루는 개발자가 동료 개발자들에게 자신이 개발한 코드를 설명하면서... - p150
수행 시점이 개발 이전인지 개발 도중인지, 검토 대상이 요구사항 명세서인지 코드인지 혼란스러운데요, 이 부분은 집필 중 055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분류에서 정적 테스트와 혼동하신 것 같습니다.
예상문제은행에서도 똑같은 오류가 보이는데요, 170페이지의 5번, 6번 문제 역시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인스펙션에 관한 문제입니다.
- 170페이지의 5번 문제: 기출인데 2과목이었습니다.
- 170페이지의 6번 문제
> 1. 프로그램을 수행시켜....
> 2. 코드 품질...
> 3. 동적 테스트...
이 부분은 수정이 되어야 할 것 같고,
제 질문은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의 분류로 이동하여 292페이지 4번 문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
5. 다음 중 워크스루와 인스펙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워크스루는 전문가들에 의해 개발자들의 작업 내역이 검토된다.
(2). 워크스루는 제품 개발자가 주체가 된다.
(3). 워크스루는 오류 발견과 발견된 오류의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둔다.
(4). 인스펙션은 워크스루를 발전시킨 형태이다.
```
정답은 (3)인데, 그렇다면 (2)는 맞는 예시가 됩니다.
그런데 255페이지 전문가의 조언에는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 워크스루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작업 내역을 개발자가 모집한 전문가들이 검토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설명에 의하면 개발자는 워크스루 과정에서 전문가를 모집하는 것에만 참여하게 되는데, 제품 개발자가 주체는 아닐것 같습니다.
혹시 이 문제가 기출인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워크스루와 인스펙션은 기본적으로 '코드'에 대한 검토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수행 시점이 개발 도중 또는 완료 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방식을 '명세서'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150쪽), 이 경우에는 명세서 검토 시점에 검증을 수행한다는 것을 기억해 두세요.
코드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동료검토, 워크스루, 인스펙션 검증 방식은 기본적으로 코드 위주이므로 정적 테스트에 속합니다.
170쪽의 5번은 인스펙션의 일반적인 단계이므로 해당 위치가 맞으며, 6번 문제는 코드 인스펙션이므로 말씀과 같이 테스트 쪽으로 이동하는 게 맞아 보입니다.
292쪽의 5번 문제의 경우 제작된 문제입니다. (170쪽 5,6번은 기출문제입니다.)
동료검토, 워크스루, 인스펙션을 다음으로 기억해두세요.
3가지는 모두 기본적으로 오류 검출을 목적으로 합니다. 해결은 이 다음의 문제죠.
동료검토 : 개발자 주관, 가장 간단
워크스루 : 개발자 주관, 전문가(관계자) 참여
인스펙션 : 워크스루의 발전형태, 개발자 배제, 외부 전문가 및 관계자들 위주로 진행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3-09-07 12:53:1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워크스루와 인스펙션은 기본적으로 '코드'에 대한 검토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수행 시점이 개발 도중 또는 완료 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방식을 '명세서'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150쪽), 이 경우에는 명세서 검토 시점에 검증을 수행한다는 것을 기억해 두세요.
코드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동료검토, 워크스루, 인스펙션 검증 방식은 기본적으로 코드 위주이므로 정적 테스트에 속합니다.
170쪽의 5번은 인스펙션의 일반적인 단계이므로 해당 위치가 맞으며, 6번 문제는 코드 인스펙션이므로 말씀과 같이 테스트 쪽으로 이동하는 게 맞아 보입니다.
292쪽의 5번 문제의 경우 제작된 문제입니다. (170쪽 5,6번은 기출문제입니다.)
동료검토, 워크스루, 인스펙션을 다음으로 기억해두세요.
3가지는 모두 기본적으로 오류 검출을 목적으로 합니다. 해결은 이 다음의 문제죠.
동료검토 : 개발자 주관, 가장 간단
워크스루 : 개발자 주관, 전문가(관계자) 참여
인스펙션 : 워크스루의 발전형태, 개발자 배제, 외부 전문가 및 관계자들 위주로 진행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