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번문제의 동그라미 7번에서의 값이 5-3으로 2가 나오는 것이 아닌 동그라미2번에서 c--후치연산이 적용되어 1이 나와야 하는것 아닌지 궁금합니다.
같은 2권 40페이지에서 문제6번의 해설에서는 조건문에서 적용된 후치연산이 결과값에도 적용이 되었기 때문에 이번에도 같은것이라 생각했는데 해설은 다르더라구요. 답에는 변함이 없지만 정확히 알고싶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C언어에서 전치, 후치는 하나의 식을 기준으로 합니다.
41쪽의 2번에서의 c--는 식의 계산이 모두 종료된 뒤, 즉 9번 계산이 끝난 후에야 1 증가하게 됩니다.
반면 40쪽의 6번의 경우 3항 연산자가 사용됩니다. 3항 연산자는 조건식 ? 식1 : 식2로 이루어져 각각이 하나의 식으로 판별됩니다.
때문에 조건식이 종료되면서 후치 증가식(b++)이 적용된 사례에 해당하죠.
하나의 구문이 여러 개의 식으로 구성된 경우는 몇 개 되지 않으니 기억해두세요.
예) 3항 연산자, for문, 쉼표(,)를 이용한 연속된 식의 나열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3-06-29 09:28:18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C언어에서 전치, 후치는 하나의 식을 기준으로 합니다.
41쪽의 2번에서의 c--는 식의 계산이 모두 종료된 뒤, 즉 9번 계산이 끝난 후에야 1 증가하게 됩니다.
반면 40쪽의 6번의 경우 3항 연산자가 사용됩니다. 3항 연산자는 조건식 ? 식1 : 식2로 이루어져 각각이 하나의 식으로 판별됩니다.
때문에 조건식이 종료되면서 후치 증가식(b++)이 적용된 사례에 해당하죠.
하나의 구문이 여러 개의 식으로 구성된 경우는 몇 개 되지 않으니 기억해두세요.
예) 3항 연산자, for문, 쉼표(,)를 이용한 연속된 식의 나열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