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기교재 111쪽에는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가 되고,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의 클라이언트가 된다." 라고 되어있고,
토막강의에는 반대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어떤게 맞는건가요?
대표적으로 'OSI참조모델'(물리-데이터-네트워크-전송-세션-표현-응응) 이 해당이 되는데,
이때 각각의 계층을 비교하면 물리계층이 데이터계층보다 하위 계층입니다. 다음 둘 중에 어떤게 맞는건가요?
- 물리계층이 데이터계층의 서비스제공자 ?
- 물리계층이 데이터계층의 클라이언트 ?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교재의 내용이 맞습니다.
말씀과 같이 OSI 모델을 예로 든다면,
최하위 계층인 물리 계층은 차 상위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의 서비스 제공자가 되며 데이터링크 계층은 서비스 사용자, 즉 클라이언트가 됩니다.
결국 마지막 계층인 응용 계층을 지나 사용자(또는 해당 계층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가 최종 클라이언트가 되는 것이죠.
신호를 받았을 때 그 신호가 OSI의 각 모델에서 비트 프레임 패킷 세그먼트 메시지 순으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것을 연상하여 기억해 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영상은 빠른 시일 내에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2-12-22 10:17:0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교재의 내용이 맞습니다.
말씀과 같이 OSI 모델을 예로 든다면,
최하위 계층인 물리 계층은 차 상위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의 서비스 제공자가 되며 데이터링크 계층은 서비스 사용자, 즉 클라이언트가 됩니다.
결국 마지막 계층인 응용 계층을 지나 사용자(또는 해당 계층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가 최종 클라이언트가 되는 것이죠.
신호를 받았을 때 그 신호가 OSI의 각 모델에서 비트 프레임 패킷 세그먼트 메시지 순으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것을 연상하여 기억해 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영상은 빠른 시일 내에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