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공부 중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문의 남깁니다.
46쪽 문제 3번에 따르면 1번 보기는 맞는 답입니다.
그런데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는 '도출-분석-명세-확인' 의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문제 3번의 1번 보기가 '요구 도출'이 소프트웨어의 개발의 실질적인 첫 단계라고 바뀌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요?
그것이 아니라면 '요구 도출'은 정확히 어떤 것의 첫 번째 단계라고 이해하는 것이 맞을까요?
소프트웨어의 개발의 실질적인 단계와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를 어떻게 별개로 이해해야 할 지 잘 모르겠습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말하는 '요구 분석'과
요구 공학에서 말하는 '요구 분석'은 조금 다르게 봐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말하는 '요구 분석은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에 있어, 즉 소프트웨어 전체 개발 중에 수행하는 요구 분석 단계를 의미합니다.
계획 - 요구 분석 - 설계 - 개발 - 테스트 - 유지보수라는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의 '요구 분석' 이죠.
반면 요구 공학에서 말하는 '요구 분석'은 도출 - 분석 - 명세 - 확인 과정을 거치는, 즉 요구 사항에 대한 것만을 추출 및 분석하는 과정에서의 '요구 분석'을 의미합니다. (위의 개발 단계의 '요구 분석'의 일종의 세부 단계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말씀하신 문제의 보기 1번에서말하는 요구 분석은 소프트웨어 공학, 즉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에서의 '요구 분석'을 의미하는 것으로 '계획'은 개발을 시작하기 위한 사전 준비 단계로 보고, 실질적인 개발은 '요구 분석' 단계부터이다... 라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2-11-17 09:23:43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말하는 '요구 분석'과
요구 공학에서 말하는 '요구 분석'은 조금 다르게 봐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말하는 '요구 분석은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에 있어, 즉 소프트웨어 전체 개발 중에 수행하는 요구 분석 단계를 의미합니다.
계획 - 요구 분석 - 설계 - 개발 - 테스트 - 유지보수라는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의 '요구 분석' 이죠.
반면 요구 공학에서 말하는 '요구 분석'은 도출 - 분석 - 명세 - 확인 과정을 거치는, 즉 요구 사항에 대한 것만을 추출 및 분석하는 과정에서의 '요구 분석'을 의미합니다. (위의 개발 단계의 '요구 분석'의 일종의 세부 단계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말씀하신 문제의 보기 1번에서말하는 요구 분석은 소프트웨어 공학, 즉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에서의 '요구 분석'을 의미하는 것으로 '계획'은 개발을 시작하기 위한 사전 준비 단계로 보고, 실질적인 개발은 '요구 분석' 단계부터이다... 라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