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455쪽 10번 해설에 대한 질문입니다.
409쪽 분포도에 대한 설명을 보면 '(조건에 맞는 레코드 수 / 전체 릴레이션 레코드 수) * 100'이 분포도라고 되어있는데, 10번 해설에서는 데이터 종류가 적고 동일한 데이터가 많은 경우 분포도가 낮다고 되어있습니다. 데이터의 종류가 적고 동일한 데이터가 많으면, 데이터의 종류가 많고 동일한 데이터가 적은 경우보다 분포도가 높은 거 아닌가요?
예를 들면, (가)데이터에 A(100) B(200)의 데이터가 있고, (나)데이터에 C(10) D(10) E(20) F(10)가 있으면. (가) 데이터의 분포도는 1/3 또는 2/3 이지만, (나) 데이터의 분포도는 1/4, 1/2인 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일반적으로 '분포도가 좋다'는 넓게 분포되어 있다는 의미로 특정 조건을 걸었을 때 검색되는 레코드의 수가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비트맵 인덱스의 경우 '분포도가 좋다'라는 의미를 '해당 인덱스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분포도다.' 정도로 해석해서 읽어야 합니다.
기존의 기사 시험 문제 중 '비트맵 인덱스는 분포도가 좋은 컬럼에 적합하다'라는 문구(옳은 지문)가 실제로 출제된 적이 있어 해당 문구를 그대로 인용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반복 출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점을 유념에 두시고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2-02-24 11:39:4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일반적으로 '분포도가 좋다'는 넓게 분포되어 있다는 의미로 특정 조건을 걸었을 때 검색되는 레코드의 수가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비트맵 인덱스의 경우 '분포도가 좋다'라는 의미를 '해당 인덱스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분포도다.' 정도로 해석해서 읽어야 합니다.
기존의 기사 시험 문제 중 '비트맵 인덱스는 분포도가 좋은 컬럼에 적합하다'라는 문구(옳은 지문)가 실제로 출제된 적이 있어 해당 문구를 그대로 인용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반복 출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점을 유념에 두시고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