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
1권 187쪽 2번 문제 4번 선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설에서 '모든 노드는 하나의 부모를 가진다.'를 '모든 노드의 부모가 같다'고 해석했는데, '근노드는 부모노드가 없다.'로 해석해도 되나요?
#2.
1권 191쪽 '힙정렬'에 대한 질문입니다.
191쪽에는 '힙 정렬은 전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를 이용한 정렬 방식이다'라고 적혀있는데, 193쪽 5번 문제 3번 선지에 '완전 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로 입력자료의 레코드를 구성한다.'가 맞는 선지로 되어있습니다. 영문 표기도 완전 이진 트리가 'Complete Binary Tree'이고, 정렬할 레코드의 개수가 짝수일 경우 완전 이진 트리일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191쪽의 '전이진트리'가 '완전이진트리'로 변경되어야하는 것이 맞는 것 같은데 혹시 전이진 트리 안에 완전 이진트리가 포함되기때문에 전이진트리라고 적혀있는건지, 제가 개념을 잘못알고있는건지, 설명이 잘못 적힌건지 궁금합니다.
즉, 힙 정렬은 '완전이진트리'와 '전이진트리' 모두를 이용한 정렬 방식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예, 그렇게 해석해도 됩니다.
[2]
전이진트리 = 완전이진트리 = complete binary tree
위의 3가지 용어는 모두 같은 트리 방식을 가리킵니다.
IT 한글 용어는 초기에 교수진이나 전문서 번역가를 통해 번역된 용어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한국어로 정의한 용어 두 가지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영문 표기를 병기하는 경우 같은 영문 표기의 경우 동일한 용어를 가리킨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문서 : 전이진트리, TTA : 완전이진트리)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2-01-28 10:45:1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예, 그렇게 해석해도 됩니다.
[2]
전이진트리 = 완전이진트리 = complete binary tree
위의 3가지 용어는 모두 같은 트리 방식을 가리킵니다.
IT 한글 용어는 초기에 교수진이나 전문서 번역가를 통해 번역된 용어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한국어로 정의한 용어 두 가지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영문 표기를 병기하는 경우 같은 영문 표기의 경우 동일한 용어를 가리킨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문서 : 전이진트리, TTA : 완전이진트리)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