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e-r다이어 그램
도서
2021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327
조회수
355
작성일
2021-07-28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안녕하세요 e-r 다이어 그램의 경우 346페이지나 347, 348 페이지에 나온 다이어 그램을 뜻하는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그런데 341 페이지 342 페이지 이후 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 사용되는것으로 보이는 박스와 339페이지의 관계의 표현에서 사용되는 기호를 통해 만들어진 그림은 e-r다이어 그램이 아닌것인가요? 그런데 441페이지를 보면 5번 관계를 외래키로 전환 에서 e-r모델을 관계 테이블로~라는 말을 보면 또 위의 모델이 e-r 모델인것 같기도 합니다. 만약 e-r모델이 맞다면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사용되는 e-r 모델이 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도 사용되는것인데, 이 또한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앞의 내용과 상반 되므로 설명 부탁드립니다. 

 

2.104장 전체적으로 위에 언급한 형식의 엔티티가 테이블로도 표현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슈퍼타입 기준 테이블 변환, 서브타입 기준 테이블 변환, 개별타입 기준 테이블 변환에서 그러합니다. 개체가 개체로 변하는것이 아닌가요? 

답변
2021-08-02 11:19:5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345쪽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ER모델의 피터 첸 표기법으로, ER모델을 개발한 피터 첸에 의해 제시된 표기법으로 오리지널 표기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후 다양한 ER모델의 표기법이 나타났는데, 대표적인 2가지로 '정보공학 표기법'과 '바커 표기법'이 있습니다.

441쪽의 ER모델은 정보공학 표기법으로 표현된 모델로, 각 관계선들의 표기가 각각 1:1, 1:n, n:m이라고 이해하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각 설계 단계에서 '작성'되는 것이지 '사용'은 언제든 될 수 있음에 주의하세요.

ER모델은 개념 설계 단계에서 처음 작성되지만, 논리 설계 단계에서 더욱 구체화되며 이는 물리 설계 단계에서의 참고 자료가 됩니다.

 

[2]

개념, 논리 설계 단계에서 구상한 테이블을 '엔티티'라고 부릅니다.

이것을 물리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구현하면 '테이블'이라고 부르는데, 사실상 명확하게 구분하여 칭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그저 설계서에서의 테이블을 실제 DB에 구현하는 과정이다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1-08-02 11:19:5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345쪽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ER모델의 피터 첸 표기법으로, ER모델을 개발한 피터 첸에 의해 제시된 표기법으로 오리지널 표기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후 다양한 ER모델의 표기법이 나타났는데, 대표적인 2가지로 '정보공학 표기법'과 '바커 표기법'이 있습니다.

    441쪽의 ER모델은 정보공학 표기법으로 표현된 모델로, 각 관계선들의 표기가 각각 1:1, 1:n, n:m이라고 이해하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각 설계 단계에서 '작성'되는 것이지 '사용'은 언제든 될 수 있음에 주의하세요.

    ER모델은 개념 설계 단계에서 처음 작성되지만, 논리 설계 단계에서 더욱 구체화되며 이는 물리 설계 단계에서의 참고 자료가 됩니다.

     

    [2]

    개념, 논리 설계 단계에서 구상한 테이블을 '엔티티'라고 부릅니다.

    이것을 물리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구현하면 '테이블'이라고 부르는데, 사실상 명확하게 구분하여 칭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그저 설계서에서의 테이블을 실제 DB에 구현하는 과정이다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