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332 쪽 6번문제
네모박스 안에 내용에서 데이터 모델은 일반적으로 3가지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되어있습니다. 330 쪽에서 데이터 모델의 구성요소는 개체, 속성, 관게 라고 서술되어 있는데
6번 문제에서는 표시할 요소인 구조, 연산, 제약 조건에 대해 나와있네요 구성요소와 표시해야할 요소의 차이를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관계 데이터 모델이 개체, 속성, 관계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것을 실제 물리 DB로 표현할 때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표현)합니다.
개체에는 테이블, 뷰 등이 있고 이것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갖고 있으며, 프로시저, 사용자정의함수, 트리거 등은 서로 다른 구조와 연산의 집합이라 볼 수 있습니다.
속성은 단순 테이블의 필드 뿐만이 아니라, 특수한 경우 여러 연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순위 필드, 편차 필드 등)
관계는 제약 조건을 통해 구현됩니다. (외래키 자체가 일종의 제약 조건)
즉, 구성 요소는 데이터 모델을 크게 나눠 볼 때 보여지는 요소들,
표시할 요소는 각 구성 요소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들,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1-08-02 10:56:28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관계 데이터 모델이 개체, 속성, 관계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것을 실제 물리 DB로 표현할 때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표현)합니다.
개체에는 테이블, 뷰 등이 있고 이것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갖고 있으며, 프로시저, 사용자정의함수, 트리거 등은 서로 다른 구조와 연산의 집합이라 볼 수 있습니다.
속성은 단순 테이블의 필드 뿐만이 아니라, 특수한 경우 여러 연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순위 필드, 편차 필드 등)
관계는 제약 조건을 통해 구현됩니다. (외래키 자체가 일종의 제약 조건)
즉, 구성 요소는 데이터 모델을 크게 나눠 볼 때 보여지는 요소들,
표시할 요소는 각 구성 요소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들,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