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92장에 보면 트랜잭션이 데이터 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위한 작업의 단위~,트랜잭션은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에서 병행제어 및 회복작업시 처리되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로 사용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논리적 기능수행, 논리적 단위로 사용되는데, 논리 데이터 베이스 설계가 아닌 물리 데이터 베이스 설계를 할때 고려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트랜잭션 설명에서 논리적 기능과 논리적 단위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져서 그런것 같습니다. 이 설명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자세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우리가 테이블을 조회하기 위해 하나의 명령문을 요청합니다.
select * from R1;
위의 한 문장이 트랜잭션이 됩니다.
(여러 문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습니다.)
트랜잭션은 그저 DB에 데이터를 요청/응답하는 하나의 메시지 단위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트랜잭션이 전달되기 위해서는 통신 회선을 사용해야 하고,
회선에 문제가 없더라도 하나의 기억장치에만 요청이 몰려오게 되면 지연되거나 과부화로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죠.
이때에 DBA는 물리적으로 회선을 확장하거나, 기억장치에 몰리는 요청을 다른 기억장치로 분산시키는 작업을 해야하는데
이것들은 논리적인 작업이 아닌 물리적인 작업에 해당하죠. (통신회선이나 실제 기억장치를 다루므로)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1-07-28 14:08:1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우리가 테이블을 조회하기 위해 하나의 명령문을 요청합니다.
select * from R1;
위의 한 문장이 트랜잭션이 됩니다.
(여러 문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습니다.)
트랜잭션은 그저 DB에 데이터를 요청/응답하는 하나의 메시지 단위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트랜잭션이 전달되기 위해서는 통신 회선을 사용해야 하고,
회선에 문제가 없더라도 하나의 기억장치에만 요청이 몰려오게 되면 지연되거나 과부화로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죠.
이때에 DBA는 물리적으로 회선을 확장하거나, 기억장치에 몰리는 요청을 다른 기억장치로 분산시키는 작업을 해야하는데
이것들은 논리적인 작업이 아닌 물리적인 작업에 해당하죠. (통신회선이나 실제 기억장치를 다루므로)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