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복합식별자
도서
2021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342
조회수
390
작성일
2021-07-26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복합식별자에 대한 교재의 설명에서 주 식별자가 두개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된 식별자라고 하였는데, 주식별자는 개체를 대표하는 유일한 식별자 라고 앞서서 설명하였습니다. 앞뒤가 맞지 않는데, 아무래도 다른 의미가 포함된것으로 생각됩니다. 복합식별자에서 주식별자가 두개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되었을때, 주식별자의 정의와 혼동이 해결될수 있도록 복합식별자에서 두개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된 주식별자에 대해서 그리고 주식별자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
2021-07-28 13:21:10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주식별자의 개념은 그대로,

다만 주식별자는 단일 속성으로 이루어진 단일식별자, 또는 두 개 이상의 속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식별자 일 수 있습니다.

 

교재 1권 472쪽의 <사원> 테이블을 예로 들어 보죠.

데이터가 아닌 필드명을 중점으로 봐주세요.

 

이 테이블의 경우 '이름' 속성을 단일 식별자이자 주 식별자로 둘 수 있지만, DBA는 이런 경우를 생각해야 합니다.

'같은 이름의 사람이 사원으로 들어오는 경우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일반적으로 '사원코드'와 같은 필드를 추가로 생성하여 이것을 주식별자로 두겠으나, 필드를 추가로 두지 못하는 경우,

'이름'과 '생일'을 묶어서 복합 식별자이자 주식별자로 두거나 '이름', '부서', '생일'까지 묶는 경우도 생각해봐야 할 것입니다.

 

주식별자는 각 튜플(개체)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일뿐 이것이 단일 속성으로 구성되었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1-07-28 13:21:10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주식별자의 개념은 그대로,

    다만 주식별자는 단일 속성으로 이루어진 단일식별자, 또는 두 개 이상의 속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식별자 일 수 있습니다.

     

    교재 1권 472쪽의 <사원> 테이블을 예로 들어 보죠.

    데이터가 아닌 필드명을 중점으로 봐주세요.

     

    이 테이블의 경우 '이름' 속성을 단일 식별자이자 주 식별자로 둘 수 있지만, DBA는 이런 경우를 생각해야 합니다.

    '같은 이름의 사람이 사원으로 들어오는 경우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일반적으로 '사원코드'와 같은 필드를 추가로 생성하여 이것을 주식별자로 두겠으나, 필드를 추가로 두지 못하는 경우,

    '이름'과 '생일'을 묶어서 복합 식별자이자 주식별자로 두거나 '이름', '부서', '생일'까지 묶는 경우도 생각해봐야 할 것입니다.

     

    주식별자는 각 튜플(개체)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일뿐 이것이 단일 속성으로 구성되었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