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0페이지의 데이터 모델에서 개념적 데이터 모델, 논리적 데이터 모델, 물리적 데이터 모델 은 앞선 데이터 베이스 설계에서 개념적 설계,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각 단계 과정에서 사용하는 모델을 말하는것인가요?
2.E-R모델345페이지를 보면 개념적 모델의 가장 대표적인것이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다음 장인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보면 개념적 데이터 모델인지 논리적인지 물리적인지 안나와 있습니다. 혹시 모든 모델에서 사용하는 경우이기에 따로 명시를 하지 않은것인지 아니면 한가지 모델에서면 사용하는데 명시를 하지 않은것인지 궁금합니다. 한가지 모델이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348페이지는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 대한 설명이고, 351페이지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에 대한 설명인데, 관계형 모델과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가 동일한 것인가요? 그렇다면 왜 이렇게 나누어 져있는것인지, 이 두장의 차이는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예, 동일합니다.
각 설계 단계를 통해 정립된 DB가 각 데이터 모델이며, NCS에서 이를 분리하여 보기 때문에 따로 설명했으나 동일하다고 보셔도 무관합니다.
[2]
ER모델은 데이터베이스를 표현하는 도형 작성법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게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많이 사용된다는 말이죠.
관계형 데이터 모델은 이와 달리 작성법이 아닌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하나 입니다. 교재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는 대개 이것을 가리키죠.
앞에서 배운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개념, 논리, 물리 설계)에 대한 설명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설명입니다.
[3]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입니다.
관계형 데이터 모델과 비즈니스를 결합하여 구축한 실질적인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이상, 개념 및 구조 등을 설명하는 문구들에서는 두 개가 동일하다고 보셔도 무관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1-07-28 11:52:3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예, 동일합니다.
각 설계 단계를 통해 정립된 DB가 각 데이터 모델이며, NCS에서 이를 분리하여 보기 때문에 따로 설명했으나 동일하다고 보셔도 무관합니다.
[2]
ER모델은 데이터베이스를 표현하는 도형 작성법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게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많이 사용된다는 말이죠.
관계형 데이터 모델은 이와 달리 작성법이 아닌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하나 입니다. 교재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는 대개 이것을 가리키죠.
앞에서 배운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개념, 논리, 물리 설계)에 대한 설명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설명입니다.
[3]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입니다.
관계형 데이터 모델과 비즈니스를 결합하여 구축한 실질적인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이상, 개념 및 구조 등을 설명하는 문구들에서는 두 개가 동일하다고 보셔도 무관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