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페이지 352 의 그림 중
도서
2020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 NCS 기반 전면 개편 [기본서]
페이지
352
조회수
407
작성일
2020-12-13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페이지 352 페이지에 있는 그림에 대한 내용 중 해당 페이지에서 일부에 대한 설명과 그림에 표시되지 않은 용어들(질의 최적화기, 트랜잭션 처리기)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어서요. 요. 

 

해당 내용에 대한 질문을 아래와 같이 요약을 하였습니다. 성실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1. 초보자의 정의는 어떻게 되나요? 

   - 초보자에 의해서 응용 프로그램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응용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래머에 의해서 작성되는 게 아닌가요?

2. 초보자 -> 응용 프로그램 -> 응용 프로그램 목적 코드 로 연결이 되어 있는데요. 응용 프로그램 목적 코드의 정의는 어떻게 되나요 ?

   - 화살표의 방향만 보면 모두 들어오는 것으로만 표시가 되어 있는데 이를 활용하는 곳은 어디인가요? 무슨 목적으로 존재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3. DML 번역기에서 응용 프로그램 목적 코드로 화살표로 연결된 것은 무슨 의미인지 ? 

4. 응용 프로그래머 -> 시스템 호출 -> DML 번역기 => 이것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5. 질의 최적화기 는 질의 처리기와 다른 건가요?

6. 트랜잭션 처리기는 아래 그림에서 표시되지 않았습니다. 어디를 이야기 하는 건가요?

 

 

답변
2020-12-14 17:32:4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해당 이미지는 각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까지 도달하는 루트를 설명한 것입니다.

초보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 아닌, 이용하여 DBMS에 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죠.

 

[2]

목적 코드는 그저 응용 프로그램의 코드가 컴파일링되어 기계어로 변환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응용 프로그램을 통했다는 것을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코드 중 DB 연결 정보 및 SQL 코드가 저장되어 있음을 의미하죠.

이후 DML 번역기로 이동해야 하는데.. 화살표가 반대로 되어있네요.

학습에 불편을 드려 사과드립니다.

<응용 프로그램 목적 코드>와 <DML 번역기>의 화살표는 반대로 되어야 합니다.

 

[3]

학습에 불편을 드려 사과드립니다.

<응용 프로그램 목적 코드>와 <DML 번역기>의 화살표는 반대로 되어야 합니다.

 

[4]

응용 프로그래머가 코드 내의 DB 연결정보를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DML 문을 전송하면,

전송된 DML을 DML 컴파일러가 DBMS에 맞는 질의문인지 확인하고, 아니라면 변환합니다.

이후 질의 처리기를 쿼리문은 최적화되고,

DBMS에 의해 수행됩니다.

 

[5]

질의 처리기가 질의 최적화기를 포함합니다.

 

[6]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에 넣을 수 있겠네요. 

호출할 개체들이 확정되고 요청 전달이 이루어져야 병행제어를 수행할 수 있을테니까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0-12-14 17:32:4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해당 이미지는 각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까지 도달하는 루트를 설명한 것입니다.

    초보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 아닌, 이용하여 DBMS에 도달하는 과정을 나타내죠.

     

    [2]

    목적 코드는 그저 응용 프로그램의 코드가 컴파일링되어 기계어로 변환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응용 프로그램을 통했다는 것을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코드 중 DB 연결 정보 및 SQL 코드가 저장되어 있음을 의미하죠.

    이후 DML 번역기로 이동해야 하는데.. 화살표가 반대로 되어있네요.

    학습에 불편을 드려 사과드립니다.

    <응용 프로그램 목적 코드>와 <DML 번역기>의 화살표는 반대로 되어야 합니다.

     

    [3]

    학습에 불편을 드려 사과드립니다.

    <응용 프로그램 목적 코드>와 <DML 번역기>의 화살표는 반대로 되어야 합니다.

     

    [4]

    응용 프로그래머가 코드 내의 DB 연결정보를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여 DML 문을 전송하면,

    전송된 DML을 DML 컴파일러가 DBMS에 맞는 질의문인지 확인하고, 아니라면 변환합니다.

    이후 질의 처리기를 쿼리문은 최적화되고,

    DBMS에 의해 수행됩니다.

     

    [5]

    질의 처리기가 질의 최적화기를 포함합니다.

     

    [6]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에 넣을 수 있겠네요. 

    호출할 개체들이 확정되고 요청 전달이 이루어져야 병행제어를 수행할 수 있을테니까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0-12-23 13:54:2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초보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다는 것은 (작성)에 관계된 것이 아닌 이미 프로그래머가 작성해 놓은 시스템 호출 명령어가 삽입되어 프로그래밍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접근한다는 의미입니다.

    (초보자가 시스템 호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여 DB에 접속하는 것은 어려우니까요)

     

    반면 응용프로그래머는 응용 프로그램 작성 시 프로그램 내에 DB에 시스템 호출 코드 및 인증 관련 프로세스를 삽입하여 직접적으로 접속 테스트 및 적용을 수행하게 되죠. 이를 의미하는 것이 '시스템 호출' 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
    2020-12-22 05:15:21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주신 답변 내용으로 이해를 하면

    아래와 같이 "초보자"와 "응용 프로그래머"로 설명이 되어야 할 거 같습니다만, 

     

    응용 프로그래머 -> 응용 프로그램(작성) -> 응용 프로그램 목적코드 

    초보자 -> 시스템 호출 -> DML 번역기 <- 응용 프로그램 목적코드

     

    회신 기다리겠습니다.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