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2쪽에 완전 함수적 종속와 부분 함수적 종속 내용이 헷갈립니다.
완전 함수적 종속에는
어떤 테이블 R에서 속성 A가 다른 속성 집합 B 전체에 대해 함수적 종속이지만 속성 집합 B의 어떠한 진부분 집합 C 에는 함수적 종속이 아닐 때 속성 A 는 집합 B에 완전한 함수적 종속이라고 합니다.
부분 함수적 종속에는
어떤 테이블 R에서 속성 A가 다른 속성 집합 B 전체에 대해 함수적 종속이지만 속성 집합 B의 어떠한 진부분 집합 C 에도 함수적 종속일 때, 속성 A 는 집합 B에 부분 함수적 종속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되어있는데, 343쪽 위에 예제를 보면,
'성적'은 '학번'과 '과목명'이 같을 경우에는 항상 같은 '성적'이 옵니다. 즉 '성적'은 '학번'과 '과목명'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성적'은 기본키(학번, 과목명)에 완전 함수적 종속이 되는 것입니다.
라고 나옵니다. 이때, 이 예제에서 집합 B와 진부분 진합 집합 C 모두에 함수적 종속인데, 342쪽 설명에 따르면 부분함수적 종속이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안녀아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이 예제에서 속성a에 해당하는 '성적'은 집합 b인 (학번, 과목명)에 의해 결정되고, 진부분 집합 (학번)이나 (과목명) 하나에 따라 결정되지 않으므로, 부분함수적 종속이 될 수 없습니다.
반면 '학년'은 집합 b인 (학번, 과목명)에 의해 결정되지만, 진부분 집합 (학번)에 의해서도 결정되므로, 부분함수적 종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7-28 10:55:44
안녀아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이 예제에서 속성a에 해당하는 '성적'은 집합 b인 (학번, 과목명)에 의해 결정되고, 진부분 집합 (학번)이나 (과목명) 하나에 따라 결정되지 않으므로, 부분함수적 종속이 될 수 없습니다.
반면 '학년'은 집합 b인 (학번, 과목명)에 의해 결정되지만, 진부분 집합 (학번)에 의해서도 결정되므로, 부분함수적 종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