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책 1권 452쪽에 XML의 특징 2가지 적는 문제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답지에는
1. 유니코드를 기반으로 다국어를 지원한다.
2.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 포맷으로 다양한 플랫폼과 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다.
3. 사용자가 직접 문서의 태그를 정의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그 태그를 사용할 수 있다.
4. 트리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상위태그는 여러개의 하위태그를 가질 수 있다.
이 중 2가지를 쓰면된다고 하는데
447페이지의 XML의 개요 밑에있는 여러 특징중 2가지를 쓰면 안되나요?
꼭 답지에 제시된 4가지 중 써야하나요?
1. 속성값은 반드시 큰따옴표로 묶어줘야한다.
2.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이렇게는 답이 인정이 안되나요? 이것들도 특징이지 않나요?
2번 질문
개념 서술형 같은 경우에 답지에 밑줄 친 부분은 꼭 들어가야한다고 기입되어있는 부분이 있는데
이 밑줄 친 부분만 따로 정리하여 외워서 적어도 답안이 인정되나요?
감점 되지않고 원 점수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답지의 정답이 가장 안전합니다.
채점기준을 공개하지 않는 시험주관사(인력공단)의 특성 상 모든 정답은 안전하게 적어줄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회원님이 적으신 답안이 정답으로 인정될 가능성은 있지만 속성값을 큰 따옴표로 묶는다거나, 대소문자를 구분한다거나 하는 특징의 경우 XML이 아닌 다른 언어도 동일한 특징을 갖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능한 다른 언어들과 구분되는 명확한 특징을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2]
마찬가지로 채점기준이 공개되지 않아 명확하게 답변드리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게다가 최근 서술형 문제의 정답 인정 기준이 까다로워 졌다는 이야기도 들려오기에 더욱 그렇습니다.
정답에 밑줄 친 부분은 해당 용어를 개념을 설명하는 키 포인트입니다.
키 포인트만 적어 내었을 때 이것을 만점인지 부분점수만 인정해줄 것인지는 인력공단만 알고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가능한 안전하게 밑 줄 외의 다른 부분까지 답안으로 적는 것을 권해드리며, 더욱더 안전한 정답을 위한다면 해당 용어에 대한 다른 특징까지 추가로 적는 것도 고려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7-02 18:10:3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답지의 정답이 가장 안전합니다.
채점기준을 공개하지 않는 시험주관사(인력공단)의 특성 상 모든 정답은 안전하게 적어줄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회원님이 적으신 답안이 정답으로 인정될 가능성은 있지만 속성값을 큰 따옴표로 묶는다거나, 대소문자를 구분한다거나 하는 특징의 경우 XML이 아닌 다른 언어도 동일한 특징을 갖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능한 다른 언어들과 구분되는 명확한 특징을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2]
마찬가지로 채점기준이 공개되지 않아 명확하게 답변드리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게다가 최근 서술형 문제의 정답 인정 기준이 까다로워 졌다는 이야기도 들려오기에 더욱 그렇습니다.
정답에 밑줄 친 부분은 해당 용어를 개념을 설명하는 키 포인트입니다.
키 포인트만 적어 내었을 때 이것을 만점인지 부분점수만 인정해줄 것인지는 인력공단만 알고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가능한 안전하게 밑 줄 외의 다른 부분까지 답안으로 적는 것을 권해드리며, 더욱더 안전한 정답을 위한다면 해당 용어에 대한 다른 특징까지 추가로 적는 것도 고려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