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질문입니다.
도서
2020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 NCS 기반 전면 개편 [기본서]
페이지
386,397,420
조회수
896
작성일
2020-06-05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 1. p.387에 인덱스 파티션키와 인덱스키 컬럼의 차이점을 모르겠습니다인덱스키 컬럼이 무엇을 의미하는건가요? 

  2.  

  1. 2. p.376의  분포도가 좋다라는 의미가 전체 레코드 중 조건에 맞는 레코드의 숫자가 적은 경우라고 나와있는데 그럼 분포도가 좋다 분포도가 좁은 걸 의미하는 건가요? P.383에 클러스터는 데이터의 분포도가 넓을수록 유리하다 나와있는데 그럼 조건에 맞는 레코드의 숫자가 많은 경우를 의미하는건가요 

  2.  

  1. P.420 10번 해설에 비트맵 인덱스는 데이터 종류가 적고 동일한 데이터가 많은  경우, 즉 분포도가 낮은 경우 최적의 성능을 밝휘한다 나와있는데 분포도가 좋다=분포도가 낮다=조건에 맞는 레코드의숫자가 적다인거 아닌가요? 왜 동일한 데이터가 많은 경우 분포도가 낮나요? 

  2.  

  1. p.420 10번의 4에 비트맵 인덱스는 동일한 값이 반복될 확률이 높다는게 옳은 것이라고 되어있는데 트맵 인덱스의 분포도가 좋다는건 반복될 확률이 낮다는거 아닌가요? 

  2.  

  1. 즉 종합해보면 분포도가 좋다=분포도가 좁다=조건에 맞는 레코드의 숫자가 적다분포도가 안좋다=분포도가 넓다=조건에 맞는 레코드의 숫자가 많다 가 맞을까요?

답변
2020-06-08 14:56:1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인덱스키 컬럼은 단일 테이블에서 흔히 사용되는 검색의 기준이 되는 컬럼을 의미합니다. (기본키나 별도로 인덱스를 설정한 필드)

인덱스 파티션키는 위의 컬럼을 분할(파티셔닝)하는 데 기준이 되는 컬럼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보죠. 학생 테이블에서 학번과 학과를 기준(인덱스)으로 정렬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이를 파티셔닝 하기 위해 학과별(파티션키)로 나눠버렸습니다.

여기서 튜플을 찾기 위해 필요한 모든 필드(학번, 학과)는 인덱스 키 컬럼이 되고,

분할하는데 사용되었던 필드는 파티션 키가 됩니다.

 

 

[2]

일반적으로 '분포도가 좋다'는 넓게 분포되어 있다는 의미로 특정 조건을 걸었을 때 검색되는 레코드의 수가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비트맵 인덱스의 경우 '분포도가 좋다'라는 의미를 '해당 인덱스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분포도다.' 정도로 해석해서 읽어야 합니다.

 

기존의 기사 시험 문제 중 '비트맵 인덱스는 분포도가 좋은 컬럼에 적합하다'라는 문구(옳은 지문)가 실제로 출제된 적이 있어 해당 문구를 그대로 인용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반복 출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점을 유념에 두시고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비트맵 인덱스는 성별(, )이나, 결혼여부(기혼, 미혼)와 같이 열이 갖는 값이 중복된 경우가 많을 때 유리합니다.

 

'분포도가 좋다'는 위와 같이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므로, 인덱스에 적합한 컬럼을 구분할 때는

동일한 값이 자주 반복되어 조건 설정 시 많은 레코드가 검색되는 경우, - 1

값의 종류가 많아 조건 설정 시 하나 또는 수 개의 레코드만 검색되는 경우, - 2

정도의 두 경우로 구분해서 암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0-06-08 14:56:1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인덱스키 컬럼은 단일 테이블에서 흔히 사용되는 검색의 기준이 되는 컬럼을 의미합니다. (기본키나 별도로 인덱스를 설정한 필드)

    인덱스 파티션키는 위의 컬럼을 분할(파티셔닝)하는 데 기준이 되는 컬럼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보죠. 학생 테이블에서 학번과 학과를 기준(인덱스)으로 정렬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이를 파티셔닝 하기 위해 학과별(파티션키)로 나눠버렸습니다.

    여기서 튜플을 찾기 위해 필요한 모든 필드(학번, 학과)는 인덱스 키 컬럼이 되고,

    분할하는데 사용되었던 필드는 파티션 키가 됩니다.

     

     

    [2]

    일반적으로 '분포도가 좋다'는 넓게 분포되어 있다는 의미로 특정 조건을 걸었을 때 검색되는 레코드의 수가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비트맵 인덱스의 경우 '분포도가 좋다'라는 의미를 '해당 인덱스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분포도다.' 정도로 해석해서 읽어야 합니다.

     

    기존의 기사 시험 문제 중 '비트맵 인덱스는 분포도가 좋은 컬럼에 적합하다'라는 문구(옳은 지문)가 실제로 출제된 적이 있어 해당 문구를 그대로 인용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반복 출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점을 유념에 두시고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비트맵 인덱스는 성별(, )이나, 결혼여부(기혼, 미혼)와 같이 열이 갖는 값이 중복된 경우가 많을 때 유리합니다.

     

    '분포도가 좋다'는 위와 같이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므로, 인덱스에 적합한 컬럼을 구분할 때는

    동일한 값이 자주 반복되어 조건 설정 시 많은 레코드가 검색되는 경우, - 1

    값의 종류가 많아 조건 설정 시 하나 또는 수 개의 레코드만 검색되는 경우, - 2

    정도의 두 경우로 구분해서 암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