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학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해당 부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질문하고자 합니다.
672P OSI 7계층 모델의 경우 응용계층이 사용자가 제일 먼저 만나는 부분이라고 이해가 되는데요
Hierarchical 3 layer모델에서는 액세스계층(L2 Switch)가 사용자가 최초로 연결되는 지점으로 설명되어있습니다.
OSI 기준으로 보면 사용자와 제일 가까운 계층이 응용계층 (L7 스위치??)라고 생각되는데요..
이부분에 대해서 두가지 모델에 대해 설명을 좀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제가 잘못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속시원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OSI 참조 모델은 두 시스템 간 통신을 위한 모델,
hierarchical 3 layer 모델은 네트워크(망) 구성을 위한 모델 입니다.
서로 적용되는 분야가 다름을 먼저 알고 넘어가셔야 합니다.
OSI에서 사용자가 직접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접근하는 계층은 응용계층이 맞습니다.
(응용 계층 관련 장비를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굳이 말하자면 시스템 자체라고 해야 할까요. 스위치와 관련된 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입니다.)
hierarchical 3 layer에서는 망의 구성 요소가 될 서버, 클라이언트 또는 단말 등의 개별 시스템들이 최초 접근하는 부분은 액세스 계층입니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시스템(클라 또는 단말)을 이용하여 접근하겠죠.
만약 제가 PC를 통해 hierarchical 3 layer를 통해 구성된 네트워크(망)에 참여한다고 가정해보죠. 이 망에 참여된 다른 사람과 통신하고 싶다? 이 때 사용되는건 OSI 모델 입니다. 두 망의 역할이 아예 다르기 때문에 사용되는 지점 또한 다르게 됩니다.
hierarchical 3 layer는 망 구성을 위해 계층을 구분하여 각 역할을 규정해 놓은 것이고, OSI 7 layer model은 망 내에서 두 시스템 간의 원할한 통신을 위해 계층을 구분하여 각 역할을 규정해 놓은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6-05 09:59:2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OSI 참조 모델은 두 시스템 간 통신을 위한 모델,
hierarchical 3 layer 모델은 네트워크(망) 구성을 위한 모델 입니다.
서로 적용되는 분야가 다름을 먼저 알고 넘어가셔야 합니다.
OSI에서 사용자가 직접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접근하는 계층은 응용계층이 맞습니다.
(응용 계층 관련 장비를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굳이 말하자면 시스템 자체라고 해야 할까요. 스위치와 관련된 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입니다.)
hierarchical 3 layer에서는 망의 구성 요소가 될 서버, 클라이언트 또는 단말 등의 개별 시스템들이 최초 접근하는 부분은 액세스 계층입니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시스템(클라 또는 단말)을 이용하여 접근하겠죠.
만약 제가 PC를 통해 hierarchical 3 layer를 통해 구성된 네트워크(망)에 참여한다고 가정해보죠. 이 망에 참여된 다른 사람과 통신하고 싶다? 이 때 사용되는건 OSI 모델 입니다. 두 망의 역할이 아예 다르기 때문에 사용되는 지점 또한 다르게 됩니다.
hierarchical 3 layer는 망 구성을 위해 계층을 구분하여 각 역할을 규정해 놓은 것이고, OSI 7 layer model은 망 내에서 두 시스템 간의 원할한 통신을 위해 계층을 구분하여 각 역할을 규정해 놓은 것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