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p.302쪽의 2번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의 관계 부분에 ‘개체 간의 관계 또는 속성 간의 논리적인 연결을 의미한다'와
(2) p.303쪽의 6번 데이터 모델에 표시할 요소 구조 부분에 ‘논리적으로 표현된 개체 타입들 간의 관계로서'가 나와있는데
(1)과 (2)의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2. p.309쪽 1번의 3에 ‘하나의 속성은 하나의 개체에만 존재한다'가 옳은 것인가요?
근데 교수 개체와 학생 개체가 있을 때 “과목명" 속성은 둘의 개체 모두에 존재할 수 있지 않나요?
3. p.318쪽 피터 첸 표기법에서 이중타원과 복수 타원의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둘 다 의미에 ‘복합 속성’이 들어가서요.
4. p.320쪽 정오표에 <수정전>과 <수정후> 그림이 서로 바뀐 것 같은데 맞나요?
제 책에는 <수정후> 사진이 들어가 있어 문의드려요. 그리고 그림이 서로 바뀐거라면 왜 이렇게 변경되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5. p.315쪽의 후보 식별자의 조건에 ‘널 값이 될 수 없다’라고 나와있는데
p.328쪽의 후보키에는 해당 조건이 나와있지 않고 p.329쪽의 기본키 설명에는 ‘기본키는 NULL 값을 가질 수 없다. 즉 튜플에서 기본키로 설정된 속성에는 NULL값이 있어서는 안된다.’라고 나와있습니다.
저는 후보 식별자와 후보키는 같은 의미로 알고 있는데 둘의 설명이 좀 달라 헷갈려요.
그럼 후보키 중 기본키에 해당하는 키에 한에서만 “존재성(NULL값 X)”을 만족시켜야하나요?
아니면 p.315쪽 후보 식별자 설명과 같이 후보키 모두 널 값이 될 수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관계는 외래키나 하위 테이블 등을 선을 통해 표시한 것을 의미합니다. (개별적인)
구조는 위의 관계를 이용하여 전체 데이터 모델의 구성을 표현한 것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인)
즉, 관계를 통해 각 테이블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완전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구축한 것을 의미하죠.
2.
여기서 의미하는 속성은 '같은 이름'의 속성이 아닌 완전히 동일한 하나의 속성을 의미합니다.
하나의 개체를 설명하는 '속성'은 그 개체를 위한 것이어서 다른 곳에 동일하게 존재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참조하는 외래키만이 존재할뿐)
즉, 교수 개체를 설명하기 위한 과목명과 학생 개체를 설명하기 위한 과목명은 서로 다른 개체를 설명하는 다른 속성이라는 의미죠.
이 보기는 개념적인 의미로만 이해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3.
명부(이름, 취미) 라는 개체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죠.
그런데 이름이라는 속성은 성, 이름이라는 두 개의 속성이 합쳐진 복합속성입니다. (복수 타원)
여기서 취미라는 속성은 한 사람에게 여러 취미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중 타원)
- 홍길동의 취미는 독서, 영화감상 2가지가 있다.
4.
바커 표기법의 사용법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찾기 어려워 2번의 수정을 거쳤기 때문입니다.
<수정후>의 사진이 현재 대학등의 교보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5.
후보키, 후보 식별자 모두 널값을 가질 수 없습니다.
유일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NULL 값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죠.
단 하나의 튜플이 NULL 값을 가지는 경우는 유일성을 만족하기 때문에 허용이 될 수 있다/없다 논란이 있으나 이 것은 고려치 않으셔도 좋을 듯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5-29 11:13:1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관계는 외래키나 하위 테이블 등을 선을 통해 표시한 것을 의미합니다. (개별적인)
구조는 위의 관계를 이용하여 전체 데이터 모델의 구성을 표현한 것을 의미합니다. (전체적인)
즉, 관계를 통해 각 테이블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완전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구축한 것을 의미하죠.
2.
여기서 의미하는 속성은 '같은 이름'의 속성이 아닌 완전히 동일한 하나의 속성을 의미합니다.
하나의 개체를 설명하는 '속성'은 그 개체를 위한 것이어서 다른 곳에 동일하게 존재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참조하는 외래키만이 존재할뿐)
즉, 교수 개체를 설명하기 위한 과목명과 학생 개체를 설명하기 위한 과목명은 서로 다른 개체를 설명하는 다른 속성이라는 의미죠.
이 보기는 개념적인 의미로만 이해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3.
명부(이름, 취미) 라는 개체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죠.
그런데 이름이라는 속성은 성, 이름이라는 두 개의 속성이 합쳐진 복합속성입니다. (복수 타원)
여기서 취미라는 속성은 한 사람에게 여러 취미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중 타원)
- 홍길동의 취미는 독서, 영화감상 2가지가 있다.
4.
바커 표기법의 사용법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찾기 어려워 2번의 수정을 거쳤기 때문입니다.
<수정후>의 사진이 현재 대학등의 교보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5.
후보키, 후보 식별자 모두 널값을 가질 수 없습니다.
유일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NULL 값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죠.
단 하나의 튜플이 NULL 값을 가지는 경우는 유일성을 만족하기 때문에 허용이 될 수 있다/없다 논란이 있으나 이 것은 고려치 않으셔도 좋을 듯 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