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번은 패키징 작업 과정에 대한 문제인데, 답은 명백히 1번으로 사료되나,
보기 4번에 프로젝트 개발 과정에서 패키징한 결과물은 테스트 서버에 배포한다.
해당 보기에서 패키징한 결과물이 주기별로 생성된 것인지, 최종적으로 생성된 것인지 명확하게 제시가 안되있기 때문에 오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관련해서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교재 194쪽 하단의 '패키징 작업 순서'에서 말하는 '주기별'이란, 애자일 등의 스프린트 기법에서의 단기 주기인 2~4주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각 개발 방법별로 갖고 있는 개별 주기를 의미합니다.
(폭포수나 스파이럴의 경우 전체 작업과정이 하나의 주기가 되겠죠)
즉, 해당 설명은 어떤 개발 과정이든지 패키징 한 결과물은 테스트 서버에 배포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배포를 위한 패키징 작업의 특성 상 반드시 테스트 서버에 먼저 배포 후 해당 소프트웨어가 정상적으로 시행되는지 테스트를 수행해야 합니다.
개발 환경에서 작업한 (패키징 한)결과물을 서버 환경(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 환경(일반 PC)에서의 테스트 없이 사용자에게 배포되는 경우는 어지간해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5-13 13:52:54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교재 194쪽 하단의 '패키징 작업 순서'에서 말하는 '주기별'이란, 애자일 등의 스프린트 기법에서의 단기 주기인 2~4주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각 개발 방법별로 갖고 있는 개별 주기를 의미합니다.
(폭포수나 스파이럴의 경우 전체 작업과정이 하나의 주기가 되겠죠)
즉, 해당 설명은 어떤 개발 과정이든지 패키징 한 결과물은 테스트 서버에 배포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배포를 위한 패키징 작업의 특성 상 반드시 테스트 서버에 먼저 배포 후 해당 소프트웨어가 정상적으로 시행되는지 테스트를 수행해야 합니다.
개발 환경에서 작업한 (패키징 한)결과물을 서버 환경(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 환경(일반 PC)에서의 테스트 없이 사용자에게 배포되는 경우는 어지간해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