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둘 모두 큰 관련이 있습니다.
아키텍처의 큰 틀은 기능적 요구사항 뿐이 아닌 비기능적 요구사항이 심하게 고려됩니다.
특히 성능, 보안, 테스트 방면에서요.
최근 다각화된 개발방식을 따르면 어떤 아키텍처 모델을 사용하던지 기능적 요구사항은 대부분 구현이 가능합니다. 다만 비기능적 요구사항들은 구조상의 한계로 구현이 제한되는데, 아키텍처 설계시 이를 고려해야 하죠.
---
해당 내용은 NCS 내용을 기반으로 합니다. 좀 더 원론적인 내용이었다면 이해가 쉬웠을테지만, 실무적으로 접근하려다보니 글로만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프로토타입 계획 시 고려사항인데 프로토타입을 통해 발생하는 이슈를 어떻게 아나요?
: 예측입니다. 요리를 할 때도 요리 초보가 아닌 이상 특정 재료를 다룰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할지 모른다는 예측은 가능합니다.
그리고 계획인데 어떻게 표준가이드를 확정하나요?
: 표준가이드는 관련 개발 연합이나 KISA 등에 많습니다. 또는 팀에 숙련자가 있다면 필요한 표준을 간략하게 만들고 제작 과정중에 추가하죠.
또 아직 계획단계인데 시연을 어떻게하고 원인을 분석하나요??
: 고려 사항임을 염두에 두세요. 계획 시 시연될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냥 프로토타입 계획 및 작성 시 고려사항 다시 검토해주세요. 설명에는 개발 계획 수립과정과 개발 한 후 결과 보고하는 과정이라고 되어있는데 계획시 고려사항하고 작성시 고려사항으로 나눠놓은것도 이상한거 같네요.
: 안타깝게도 문구 자체를 어느정도 암기할 것을 권해드립니다. 해당 문구들은 대부분 NCS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가져온 것으로, 정률화된 규칙 없이 실무진들이 고려사항으로 이러한 것들이 있다.. 정도로 적어놓은 것으로 보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4-13 18:39:1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둘 모두 큰 관련이 있습니다.
아키텍처의 큰 틀은 기능적 요구사항 뿐이 아닌 비기능적 요구사항이 심하게 고려됩니다.
특히 성능, 보안, 테스트 방면에서요.
최근 다각화된 개발방식을 따르면 어떤 아키텍처 모델을 사용하던지 기능적 요구사항은 대부분 구현이 가능합니다. 다만 비기능적 요구사항들은 구조상의 한계로 구현이 제한되는데, 아키텍처 설계시 이를 고려해야 하죠.
---
해당 내용은 NCS 내용을 기반으로 합니다. 좀 더 원론적인 내용이었다면 이해가 쉬웠을테지만, 실무적으로 접근하려다보니 글로만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프로토타입 계획 시 고려사항인데 프로토타입을 통해 발생하는 이슈를 어떻게 아나요?
: 예측입니다. 요리를 할 때도 요리 초보가 아닌 이상 특정 재료를 다룰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할지 모른다는 예측은 가능합니다.
그리고 계획인데 어떻게 표준가이드를 확정하나요?
: 표준가이드는 관련 개발 연합이나 KISA 등에 많습니다. 또는 팀에 숙련자가 있다면 필요한 표준을 간략하게 만들고 제작 과정중에 추가하죠.
또 아직 계획단계인데 시연을 어떻게하고 원인을 분석하나요??
: 고려 사항임을 염두에 두세요. 계획 시 시연될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냥 프로토타입 계획 및 작성 시 고려사항 다시 검토해주세요. 설명에는 개발 계획 수립과정과 개발 한 후 결과 보고하는 과정이라고 되어있는데 계획시 고려사항하고 작성시 고려사항으로 나눠놓은것도 이상한거 같네요.
: 안타깝게도 문구 자체를 어느정도 암기할 것을 권해드립니다. 해당 문구들은 대부분 NCS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가져온 것으로, 정률화된 규칙 없이 실무진들이 고려사항으로 이러한 것들이 있다.. 정도로 적어놓은 것으로 보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