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질문이요
도서
2020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 NCS 기반 전면 개편 [기본서]
페이지
412
조회수
528
작성일
2020-04-08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슈퍼티입/서브타입이 논리데이터 모델 어디서 쓰이나요???? 설명 나와있는 쪽수좀 알려주세요 412쪽 서브타입 기준 테이블 변환할때 단점에 대한 이유도 적어주세요. 아니면 예를 들어서 설명해주세요. 그리고 장점에서 테이블당 크기가 늘어난거 아닌가요?? 세 개의 테이블에서 두개로 통합된건데 어떻게 테이블당 크기가 감소할수가 있나요?? 413쪽 개별타입 기준 테이블변환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각각 이유좀 적어주세요. 아니면 예를 들어주세요. 슈퍼타입 기준으로 테이블 변환하는거 밖에 이해가 안돼요ㅠㅠ
답변
2020-04-09 13:14:5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슈퍼티입/서브타입이 논리데이터 모델 어디서 쓰이나요???? 설명 나와있는 쪽수좀 알려주세요

[답변]

412쪽의 예제 좌측의 ER다이어그램 접수, 방문접수, 인터넷접수 테이블을 표현한 논리 데이터 모델을 우측의 <접수>라는 물리 데이터 모델이 적합한 테이블로 변환한 것입니다.

 

 

412쪽 서브타입 기준 테이블 변환할때 단점에 대한 이유도 적어주세요. 

[답변]

413쪽 서브타입 예제를 기준으로, 하나로 통합되는 슈퍼타입 기준 변환에 비해 테이블이 증가하니 당연히 어떤 테이블을 탐색해야 하는지 정해야 하는 논리 코드가 필요하게 되어 수행 속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서브타입 마다 고유의 속성의 개수가 많고, 관계가 복잡해지면 SQL문이 복잡해지므로 통합 또한 어렵게됩니다.

'부분 범위'는 전체 튜플에 대한 일부 범위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해당 예제에서 '2020-4-1'에 등록한 사람을 조회하고자 한다면 여러 테이블을 검색하고, 동일인인지 확인하여 중복을 제거하는 등의 귀찮은 처리가 발생하죠.

위의 사항을 통합한 뷰(슈퍼타입 기준 변환의 테이블과 유사한 뷰)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데, 이런 뷰를 쓸거면 서브타입 기준으로 분할한 의미가 없겠죠.

동일한 '접수'라는 비즈니스 항목에 대한 여러 식별자들이 난립하게 되니 관리가 어려워집니다.

 

 

그리고 장점에서 테이블당 크기가 늘어난거 아닌가요?? 세 개의 테이블에서 두개로 통합된건데 어떻게 테이블당 크기가 감소할수가 있나요?? 

[답변]

테이블 '당' 입니다.

슈퍼타입 통합 테이블의 rows가 10만이라면

서브타입 통합 테이블은 2개이므로 rows가 5만 정도씩 나눠지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나의 테이블 조회시 슈퍼타입은 무조건 10만, 서브타입은 5만을 조회한다는 의미입니다.

 

413쪽 개별타입 기준 테이블변환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각각 이유좀 적어주세요.

[답변]

개별타입은 슈퍼타입 통합과 서브타입 통합을 적절히 섞여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체 데이터 조회는 서브타입에 부적합합니다. 동일한 비즈니스 항목이 완전히 둘로 분리되어 있으니까요. 슈퍼와 개별에 적합합니다.

독립적인 경우 슈퍼타입은 통합된 테이블에 대한 수정이 가해져야 하니, 큰 작업이 됩니다. 분리된 테이블에 작업하는 것이 좋죠. 서브와 개별에 적합합니다.

컬럼 수가 많은 경우, 굳이 합한 후에 분할하라 바에야 애초에 합치지 않는게 낫습니다. 서브와 개별이 적합하죠.

트랜잭션이 특정 테이블에 발생하는 경우 해당 테이블은 별도로 있는 것이 좋습니다. 개별에 적합

단일 테이블 클러스터링에 대한 것은 첫번째 이유와 동일합니다.

 

참고로 본 교재는 '수험서' 입니다. '전공서'와는 학습 방법이 다릅니다.

각 문구를 세부적으로 이해하면 좋으나, 그저 '해당 특성이 이렇다' 정도로 학습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각 문구는 NCS 모듈과 기존 시험에 출제된 문구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문구 그대로 학습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가능한 모든 질문에 답변드리고 싶으나, 앞으로 각 문구의 이해를 위한 세부적인 답변은 어려울 것 같다는 점. 양해의 말씀 드립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0-04-09 13:14:51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슈퍼티입/서브타입이 논리데이터 모델 어디서 쓰이나요???? 설명 나와있는 쪽수좀 알려주세요

    [답변]

    412쪽의 예제 좌측의 ER다이어그램 접수, 방문접수, 인터넷접수 테이블을 표현한 논리 데이터 모델을 우측의 <접수>라는 물리 데이터 모델이 적합한 테이블로 변환한 것입니다.

     

     

    412쪽 서브타입 기준 테이블 변환할때 단점에 대한 이유도 적어주세요. 

    [답변]

    413쪽 서브타입 예제를 기준으로, 하나로 통합되는 슈퍼타입 기준 변환에 비해 테이블이 증가하니 당연히 어떤 테이블을 탐색해야 하는지 정해야 하는 논리 코드가 필요하게 되어 수행 속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서브타입 마다 고유의 속성의 개수가 많고, 관계가 복잡해지면 SQL문이 복잡해지므로 통합 또한 어렵게됩니다.

    '부분 범위'는 전체 튜플에 대한 일부 범위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해당 예제에서 '2020-4-1'에 등록한 사람을 조회하고자 한다면 여러 테이블을 검색하고, 동일인인지 확인하여 중복을 제거하는 등의 귀찮은 처리가 발생하죠.

    위의 사항을 통합한 뷰(슈퍼타입 기준 변환의 테이블과 유사한 뷰)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데, 이런 뷰를 쓸거면 서브타입 기준으로 분할한 의미가 없겠죠.

    동일한 '접수'라는 비즈니스 항목에 대한 여러 식별자들이 난립하게 되니 관리가 어려워집니다.

     

     

    그리고 장점에서 테이블당 크기가 늘어난거 아닌가요?? 세 개의 테이블에서 두개로 통합된건데 어떻게 테이블당 크기가 감소할수가 있나요?? 

    [답변]

    테이블 '당' 입니다.

    슈퍼타입 통합 테이블의 rows가 10만이라면

    서브타입 통합 테이블은 2개이므로 rows가 5만 정도씩 나눠지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나의 테이블 조회시 슈퍼타입은 무조건 10만, 서브타입은 5만을 조회한다는 의미입니다.

     

    413쪽 개별타입 기준 테이블변환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각각 이유좀 적어주세요.

    [답변]

    개별타입은 슈퍼타입 통합과 서브타입 통합을 적절히 섞여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전체 데이터 조회는 서브타입에 부적합합니다. 동일한 비즈니스 항목이 완전히 둘로 분리되어 있으니까요. 슈퍼와 개별에 적합합니다.

    독립적인 경우 슈퍼타입은 통합된 테이블에 대한 수정이 가해져야 하니, 큰 작업이 됩니다. 분리된 테이블에 작업하는 것이 좋죠. 서브와 개별에 적합합니다.

    컬럼 수가 많은 경우, 굳이 합한 후에 분할하라 바에야 애초에 합치지 않는게 낫습니다. 서브와 개별이 적합하죠.

    트랜잭션이 특정 테이블에 발생하는 경우 해당 테이블은 별도로 있는 것이 좋습니다. 개별에 적합

    단일 테이블 클러스터링에 대한 것은 첫번째 이유와 동일합니다.

     

    참고로 본 교재는 '수험서' 입니다. '전공서'와는 학습 방법이 다릅니다.

    각 문구를 세부적으로 이해하면 좋으나, 그저 '해당 특성이 이렇다' 정도로 학습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각 문구는 NCS 모듈과 기존 시험에 출제된 문구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문구 그대로 학습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가능한 모든 질문에 답변드리고 싶으나, 앞으로 각 문구의 이해를 위한 세부적인 답변은 어려울 것 같다는 점. 양해의 말씀 드립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