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질문이요
도서
2020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 NCS 기반 전면 개편 [기본서]
페이지
0
조회수
326
작성일
2020-04-06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299쪽에 논리적 설계에서 개념스키마 평가 및 정제 한다고

되어있고 362쪽에 물리적 설계에서 또 개념스키마 변경여부

검토라고 되어있는데 차이가 있나요?

 

313쪽 전문가의 조언에서 식별자는 논리데이터 단계, 키는 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 쓰인다고 되어있는데 그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물리 데이터 모델 아닌가요? 릴레이션 이면서 키를 사용하는데요

 

물리적 테이블에서 보조식별자는 유니크 인덱스 말고 대체키로 사용하는거 아닌가요?

 

답변
2020-04-06 22:11:10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논리적 설계단계에서 개념스키마를 평가 및 정제한다는 것은 가능한 (컴퓨터 알고리즘 상)논리적인 구조로 스키마가 구성되도록 이를 평가하고 수정하는 단계입니다.

 

물리적 설계단계에서 개념 스키마의 변경 여부를 검토한다는 것은 논리적 모델링을 물리 데이터베이스로 옮길 때 효율을 위해 논리에서 고려하지 못한 부분을 검토한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효율은 컴퓨터 알고리즘 상 논리적인 것이 아닌 통신 대역폭, 디스크 접근 속도, 채널 수 등 물리적인 요소들에 대한 효율을 의미합니다.

 

----

 

사실상 식별자=키, 릴레이션=테이블, 속성=컬럼(column), 튜플=레코드=로우(row) 는 단계상에서 서로 다르게 부르지만, 혼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실용사례에서는 이를 엄격히 구분지어 사용하는 경우가 오히려 드뭅니다..)

또한 수험생들을 위해 기존 시험의 문구들을 그대로 인용하여 사용하다보니 이러한 혼용된 사용들이 종종 존재합니다.

(시험에서도 이를 명확히 구분해서 사용하지는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

 

테이블에서 주 식별자는 기본키, 보조 식별자는 대체키를 의미합니다. 이 대체키를 유니크 인덱스로 지정하는 것이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0-04-06 22:11:10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논리적 설계단계에서 개념스키마를 평가 및 정제한다는 것은 가능한 (컴퓨터 알고리즘 상)논리적인 구조로 스키마가 구성되도록 이를 평가하고 수정하는 단계입니다.

     

    물리적 설계단계에서 개념 스키마의 변경 여부를 검토한다는 것은 논리적 모델링을 물리 데이터베이스로 옮길 때 효율을 위해 논리에서 고려하지 못한 부분을 검토한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효율은 컴퓨터 알고리즘 상 논리적인 것이 아닌 통신 대역폭, 디스크 접근 속도, 채널 수 등 물리적인 요소들에 대한 효율을 의미합니다.

     

    ----

     

    사실상 식별자=키, 릴레이션=테이블, 속성=컬럼(column), 튜플=레코드=로우(row) 는 단계상에서 서로 다르게 부르지만, 혼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실용사례에서는 이를 엄격히 구분지어 사용하는 경우가 오히려 드뭅니다..)

    또한 수험생들을 위해 기존 시험의 문구들을 그대로 인용하여 사용하다보니 이러한 혼용된 사용들이 종종 존재합니다.

    (시험에서도 이를 명확히 구분해서 사용하지는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

     

    테이블에서 주 식별자는 기본키, 보조 식별자는 대체키를 의미합니다. 이 대체키를 유니크 인덱스로 지정하는 것이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