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484]
프로시저 실행시 명령어를 통해 프로시저를 실행하는 것이 실행문입니다. (exec 프로시저명)
사용자정의함수 실행 시 DML문 내에 사용자정의함수가 포함되어 사용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교재 486쪽의 4번 '사용자 정의 함수 실행'을 참고하세요)
[481]
482쪽 예제에서 NEW를 사용한 예제를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NEW는 추가(insert)/수정(update) 시 작동하는 트리거를 생성할 때, 새로 추가/수정되는 튜플들의 집합을 지칭하며,
OLD는 수정(update)/삭제(delete) 시 작동하는 트리거를 생성할 때, 수정/삭제되기 전의 테이블을 지칭합니다.
[482]
해당 페이지에서 말한 SQL문은 CONTROL, SQL, EXCEPTION, RETURN 중 어떤 코드라도 하나의 문장은 있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485]
리턴은 사용자 정의 함수 선언 시 어떤 자료형을 반환할지 정의한 후 (② RETURN VARCHAR2)
그리고 블록(BEGIN ~ END) 내부에서 다시 사용됩니다. (RETURN '남자', RETURN '여자')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4-06 13:08:4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484]
프로시저 실행시 명령어를 통해 프로시저를 실행하는 것이 실행문입니다. (exec 프로시저명)
사용자정의함수 실행 시 DML문 내에 사용자정의함수가 포함되어 사용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교재 486쪽의 4번 '사용자 정의 함수 실행'을 참고하세요)
[481]
482쪽 예제에서 NEW를 사용한 예제를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NEW는 추가(insert)/수정(update) 시 작동하는 트리거를 생성할 때, 새로 추가/수정되는 튜플들의 집합을 지칭하며,
OLD는 수정(update)/삭제(delete) 시 작동하는 트리거를 생성할 때, 수정/삭제되기 전의 테이블을 지칭합니다.
[482]
해당 페이지에서 말한 SQL문은 CONTROL, SQL, EXCEPTION, RETURN 중 어떤 코드라도 하나의 문장은 있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485]
리턴은 사용자 정의 함수 선언 시 어떤 자료형을 반환할지 정의한 후 (② RETURN VARCHAR2)
그리고 블록(BEGIN ~ END) 내부에서 다시 사용됩니다. (RETURN '남자', RETURN '여자')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