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4번 보기 또한 충분히 정답이 될 수 있으나, 문제에서 '가장 적합한 것'이라고 표현한 것이 맹점입니다.
ER 다이어그램을 릴레이션으로 표현할 때는 중복필드, 중복레코드가 가장 적은 형태로 바꾸는 것이 가장 최적의 형태입니다.
4번 보기는 해설에서 설명하고 있는 첫번째 방법으로, 적합한 변환 방법이지만 더 효율적인 2번 보기의 방법이 있으므로 정답은 2번을 고르셔야 합니다.
4번 문제의 ER다이어그램의 경우,
하나의 도시는 여러 사람의 출생지이자 거주지입니다. 도시1:사람N
한 사람은 출생지는 하나의 도시로 제한되지만 사람1:도시1, 거주지는 기간에 따라 여러 곳이 될 수 있습니다. 사람1:도시N
(거주지 사람1:도시N의 예 - 2000~2010년까지 부산에서 살았고, 2011부터는 서울에서 살고 있다. 거주지 관계에 달려있는 '기간' 속성으로 추측이 가능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3-19 11:48:3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4번 보기 또한 충분히 정답이 될 수 있으나, 문제에서 '가장 적합한 것'이라고 표현한 것이 맹점입니다.
ER 다이어그램을 릴레이션으로 표현할 때는 중복필드, 중복레코드가 가장 적은 형태로 바꾸는 것이 가장 최적의 형태입니다.
4번 보기는 해설에서 설명하고 있는 첫번째 방법으로, 적합한 변환 방법이지만 더 효율적인 2번 보기의 방법이 있으므로 정답은 2번을 고르셔야 합니다.
4번 문제의 ER다이어그램의 경우,
하나의 도시는 여러 사람의 출생지이자 거주지입니다. 도시1:사람N
한 사람은 출생지는 하나의 도시로 제한되지만 사람1:도시1, 거주지는 기간에 따라 여러 곳이 될 수 있습니다. 사람1:도시N
(거주지 사람1:도시N의 예 - 2000~2010년까지 부산에서 살았고, 2011부터는 서울에서 살고 있다. 거주지 관계에 달려있는 '기간' 속성으로 추측이 가능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