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9페이지의 기능점수 이론에서는 나와있지 않은 내용들이 선지에 있는데요
1번, 2번, 4번 선지에 대한 해설 부탁드립니다.
특히, 709 페이지 이론에서는 "요인별 가중치를 합한 총기능점수*영향도를 이용한 점수=기능점수"라고 나와있는데요 4번 선지에서는 "영향도와 가중치의 합을 이용하여 실질기능 점수를 계산한다"라고 나와있습니다.
영향도와//가중치의 합인지
(영향도와 가중치)의 합인지 헷갈립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해당 문제는 실제 기존 기사 시험에 출제되었던 문제로 해당 파트와 관련이 있어 포함하였으나, 중요도가 높지 않아 자세한 내용은 섹션에 수록되어있지 않습니다.
1번의 각 요소들은 기능 점수 모형의 각 요인들을 가리킵니다.
709쪽의 각 요인들인 자료 입력, 정보 출력, 명령어 등을 의미하죠. 이를 통해 규모를 파악하는 방법이 기능 점수 모형에 해당합니다.
2번은 교재에서 설명된 모든 비용 예측 모형이 공통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에 독립적입니다. C를 사용하든, Java를 사용하든 단순 라인 수나 각 요인들을 체크할 뿐 언어가 무엇인지에 따라 별도의 기준이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4번은 (영향도), (가중치의 합)을 이용하여 실질 기능 점수를 계산한다, 가 맞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틀린 지문이 되어버리니까요.
709쪽에서 설명하고 있듯이 기능 점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총 기능점수(가중치의 합)와 영향도에 수식을 적용한 값을 곱하여 구하니, 맞는 지문에 해당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3-19 11:03:2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해당 문제는 실제 기존 기사 시험에 출제되었던 문제로 해당 파트와 관련이 있어 포함하였으나, 중요도가 높지 않아 자세한 내용은 섹션에 수록되어있지 않습니다.
1번의 각 요소들은 기능 점수 모형의 각 요인들을 가리킵니다.
709쪽의 각 요인들인 자료 입력, 정보 출력, 명령어 등을 의미하죠. 이를 통해 규모를 파악하는 방법이 기능 점수 모형에 해당합니다.
2번은 교재에서 설명된 모든 비용 예측 모형이 공통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에 독립적입니다. C를 사용하든, Java를 사용하든 단순 라인 수나 각 요인들을 체크할 뿐 언어가 무엇인지에 따라 별도의 기준이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4번은 (영향도), (가중치의 합)을 이용하여 실질 기능 점수를 계산한다, 가 맞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틀린 지문이 되어버리니까요.
709쪽에서 설명하고 있듯이 기능 점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총 기능점수(가중치의 합)와 영향도에 수식을 적용한 값을 곱하여 구하니, 맞는 지문에 해당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