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프로세스 상태 전이 중, 스풀링에 관하여
도서
2020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 NCS 기반 전면 개편 [기본서]
페이지
658
조회수
1070
작성일
2020-03-01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늘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658쪽의 프로세스 상태 전이 도식을 보면 '접수'상태에서 스풀링으로 디스크와 관여하는 부분이 있는데, 스풀링에 관한 부분이 잘 이해가 안가여 인터넷 검색을 해본 결과 주로 프린터에 대해 이야기를 많이 하더군요. 문서 출력을 다 기다리면 CPU가 그동안 낭비되는 일이 발생하니, 이 작업을 디스크를 활용하여 진행해서 CPU와 프린터 사이의 속도 격차를 보완한다는 식으로 이해를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스풀링은 '프린터'에 국한된 이야기 인가요? 다양한 다른 프로세스들, 예를 들면, 인터넷 서핑, 엑셀 작업, 컴퓨터 게임 등, 프린터와 무관한 다른 작업들에도 스풀링은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나요? 그리고 도식에 '디스크'라고 표현된 부분은 하드디스크 같은 보조기억장치를 의미하는 것 맞나요? 

 

고맙습니다. 

답변
2020-03-02 14:40:4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스풀링은 주변장치와 중앙처리장치의 처리속도 차이에 의한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으로 주로 프린터의 기능으로 언급되지만 여타 장치에서도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외부 장치에도 고성능화된 프로세스들이 포함되어 스풀링 기법보다는 버퍼 메모리 등을 활용한 다른 기법을 사용해서 속도 차이를 해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프로세스 상태 전이도에서 사용된 '스풀링'은 외부 장치와의 속도차 해소를 위한 기법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외부 디스크(HDD, SDD 등)에서 내부 메모리(RAM, Cache, Register)로 명령어들을 적재하는 과정이라고 보시는게 좋습니다.

단지 그 과정에서 외부 디스크의 속도가 내부 메모리보다 느리다보니 스풀링이라는 용어를 쓰게된 것이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0-03-02 14:40:4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스풀링은 주변장치와 중앙처리장치의 처리속도 차이에 의한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으로 주로 프린터의 기능으로 언급되지만 여타 장치에서도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외부 장치에도 고성능화된 프로세스들이 포함되어 스풀링 기법보다는 버퍼 메모리 등을 활용한 다른 기법을 사용해서 속도 차이를 해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프로세스 상태 전이도에서 사용된 '스풀링'은 외부 장치와의 속도차 해소를 위한 기법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외부 디스크(HDD, SDD 등)에서 내부 메모리(RAM, Cache, Register)로 명령어들을 적재하는 과정이라고 보시는게 좋습니다.

    단지 그 과정에서 외부 디스크의 속도가 내부 메모리보다 느리다보니 스풀링이라는 용어를 쓰게된 것이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