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9쪽
1번-보기3 을 보면 하나의 속성은 하나의 개체에만 존재한다. 가 맞는 보기로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외래키의 경우 개체 간의 관련이 있는 다른 개체에도 존재할 수 있는데 왜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2번-보기1번 을 보면 기본 속성은 업무로부터 추출한 모든 속성이다. 가 맞는 보기로 되어있습니다.
근데 "모든"이 들어가면 틀린 것 아닌가요?
307 페이지의 기본속성 설명을 보면 업무로부터 분석한 속성이어도 코드로 정의된 속성은 제외된다고 되어있어서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번-보기3]
해당 보기는 하나의 속성은 개체 내에서 유일하다는 의미로, 중복하여 존재할 수 없다는 의미이므로 맞는 성명에 해당합니다.
[2번-보기1]
4번이 정답인 이유는 문제에서 '속성의 특성에 따른 분류'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특성에 따른 분류에는 기본, 설계, 파생 뿐이 존재하지 않으면 4번 보기는 맞는 설명이지만 특성에 따른 분류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1번 보기의 '모든'이 정답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앞의 '추출한' 때문입니다.
섹션에서 언급한 '코드로 정의한 속성'은 '추출된 속성'이 아닌 업무관계자가 '새로이 정의 및 생성한 속성'을 의미하기 때문에 '추출한 모든 속성'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즉 업무관계자가 정의 및 생성하지 않고 업무 분석을 통해 추출된 모든 속성이 '기본 속성'에 해당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3-02 12:39:55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번-보기3]
해당 보기는 하나의 속성은 개체 내에서 유일하다는 의미로, 중복하여 존재할 수 없다는 의미이므로 맞는 성명에 해당합니다.
[2번-보기1]
4번이 정답인 이유는 문제에서 '속성의 특성에 따른 분류'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특성에 따른 분류에는 기본, 설계, 파생 뿐이 존재하지 않으면 4번 보기는 맞는 설명이지만 특성에 따른 분류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1번 보기의 '모든'이 정답이 될 수 있는 이유는 앞의 '추출한' 때문입니다.
섹션에서 언급한 '코드로 정의한 속성'은 '추출된 속성'이 아닌 업무관계자가 '새로이 정의 및 생성한 속성'을 의미하기 때문에 '추출한 모든 속성'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즉 업무관계자가 정의 및 생성하지 않고 업무 분석을 통해 추출된 모든 속성이 '기본 속성'에 해당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