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인터페이스 설계 과정은 요구사항을 분석한 후, 이를 구체화시켜나가는 과정 자체가 설계에 해당합니다.
즉, 요구사항 분석 후, 시스템 식별, 데이터 식별, 방법 명세화, 설계서 작성이 설계에 해당하죠.
1과목 1장에서 설명한 요구사항은 가장 기본적인 요구사항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최근 개발기법에 따르면 요구사항 프로세스는 시스템 개발 전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합니다.
인터페이스 설계는 개발과정 중 개발자들 간에 인터페이스로 인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하는 사전 설계 작업에 해당합니다. 이 작업에는 먼저 의뢰자 또는 개발자들 간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구체화시켜 나가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인터페이스의 요구분석 또한 일반적인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인 도출, 분석, 명세, 확인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을 별도로 설명하지 않은 이유는 인터페이스에 한정하여 요구사항을 분석하다보니 해당 과정을 엄밀히 지키는 것보다 좀 더 구체화된 과정을 거치는 것이 낫기 때문이죠.(133쪽 3.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절차)
교재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 외의 구체적인 인터페이스 설계 절차는 기업 또는 개발자 집단의 환경에 따라 달라집니다. 가장 일반적이고 기사 수준에서 알아야 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교재에서 충분히 설명하고 있으니, 설명 중 혼동되는 내용이 있을 때 질문주시면 추가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2-24 12:03:3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인터페이스 설계 과정은 요구사항을 분석한 후, 이를 구체화시켜나가는 과정 자체가 설계에 해당합니다.
즉, 요구사항 분석 후, 시스템 식별, 데이터 식별, 방법 명세화, 설계서 작성이 설계에 해당하죠.
1과목 1장에서 설명한 요구사항은 가장 기본적인 요구사항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최근 개발기법에 따르면 요구사항 프로세스는 시스템 개발 전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합니다.
인터페이스 설계는 개발과정 중 개발자들 간에 인터페이스로 인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하는 사전 설계 작업에 해당합니다. 이 작업에는 먼저 의뢰자 또는 개발자들 간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구체화시켜 나가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인터페이스의 요구분석 또한 일반적인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인 도출, 분석, 명세, 확인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을 별도로 설명하지 않은 이유는 인터페이스에 한정하여 요구사항을 분석하다보니 해당 과정을 엄밀히 지키는 것보다 좀 더 구체화된 과정을 거치는 것이 낫기 때문이죠.(133쪽 3.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절차)
교재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 외의 구체적인 인터페이스 설계 절차는 기업 또는 개발자 집단의 환경에 따라 달라집니다. 가장 일반적이고 기사 수준에서 알아야 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교재에서 충분히 설명하고 있으니, 설명 중 혼동되는 내용이 있을 때 질문주시면 추가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3-02 10:41:08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단계를 요구사항 프로세스인 도출, 분석, 명세, 확인과 떨어뜨려 이해하세요.
소프트웨어 전체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한 명세를 기록하는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서'와
시스템 내 인터페이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명세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명세서'는 서로 다릅니다.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명세서'는 인터페이스 설계 과정 내에서 분석 과정(요구사항 프로세스x)을 통해 수행되며, 이는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서'의 인터페이스 관련 항목만을 대상으로 기능적 요구사항과 비기능적 요구사항으로 분류하여 조직화한 명세서입니다.
---
인터페이스 정의서는 인터페이스별로 시스템 간의 연계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 항목 및 구현 요건 등이 기술된 문서입니다. (교재 150쪽)
행복한 하루되세요 :)
-
*2020-02-27 20:56:53
그러면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명세서는 분석 단계에서 작성하는건가요? 앞에서는 명세단계에서 작성한다고 했다가 여기서는 분석단계에서 한다고 하니까 헷갈리네요. 또한 인터페이스 정의서는 뭔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