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작업 대상(설계서의 목적 시스템)이 되는 시스템의 모듈들을 내부 모듈, 그 외의 모듈을 외부 모듈이라고 합니다.
이에 따라 내부 모듈과 외부 모듈의 기준을 상시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업 내의 '통합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계서를 작성한다면 통합 시스템에 속한 인사관리, 회계관리, 업무관리, 거래처관리 등의 다양한 서브 시스템에 속한 기능들이 모두 내부 모듈에 해당되겠고, 이 모듈과 통신하는 기업 외의 은행, 정부기관 등의 시스템에 속한 기능들이 외부 모듈이 될 것입니다.
이에 반해 통합 시스템 내의 '인사 관리'라는 서브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계서를 작성한다면 인사관리에 속한 '신규 등록', '해고', '승진' 등의 기능들이 내부 모듈에 해당되겠고, 기업 외의 은행 등의 시스템은 물론, 기업 내 다른 서브 시스템인 회계관리, 업무관리 등에 속한 기능들 모두 외부 모듈에 해당되게 되겠죠.
단순히 초기 설계서를 기준으로 내외부 모듈을 구분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즉 개발 대상이 되는 시스템의 기능들이 내부 모듈, 그 외에는 모두 외부 모듈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2-19 10:14:34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작업 대상(설계서의 목적 시스템)이 되는 시스템의 모듈들을 내부 모듈, 그 외의 모듈을 외부 모듈이라고 합니다.
이에 따라 내부 모듈과 외부 모듈의 기준을 상시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업 내의 '통합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계서를 작성한다면 통합 시스템에 속한 인사관리, 회계관리, 업무관리, 거래처관리 등의 다양한 서브 시스템에 속한 기능들이 모두 내부 모듈에 해당되겠고, 이 모듈과 통신하는 기업 외의 은행, 정부기관 등의 시스템에 속한 기능들이 외부 모듈이 될 것입니다.
이에 반해 통합 시스템 내의 '인사 관리'라는 서브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계서를 작성한다면 인사관리에 속한 '신규 등록', '해고', '승진' 등의 기능들이 내부 모듈에 해당되겠고, 기업 외의 은행 등의 시스템은 물론, 기업 내 다른 서브 시스템인 회계관리, 업무관리 등에 속한 기능들 모두 외부 모듈에 해당되게 되겠죠.
단순히 초기 설계서를 기준으로 내외부 모듈을 구분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즉 개발 대상이 되는 시스템의 기능들이 내부 모듈, 그 외에는 모두 외부 모듈입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