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기1번
"~매출액 평균이 1,000 이하인 경우는 출력에서 제외된다" 가 아닌,
"~매출액이 1,000 이하인 경우는 출력에서 제외된다" 가 맞지 않나요?
보기2번
아래 해설과 비교해봤을 때, 말의 순서만 다를 뿐 결국 같은 결과를 의미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만약 제 생각이 틀렸다면.. 첨부된 파일의 그림과 같이 해석하면 안되는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해당 문제의 문구는 이전에 출제되었던 문제를 그대로 옮겨온 것입니다.
[1]
'where 절을 통해 매출액이 1000을 초과하는 튜플을 조회한 후, 거기서 '소속도시'로 그룹을 지어 평균 매출액을 출력한다.' 는 코드에 대한 설명이며,
출력을 놓고 설명하게 되면 결국 매출액이 1000을 초과하는 튜플만을 모아두고, 평균을 조회하게 되므로 평균 1000이하의 튜플은 제외되므로 맞는 설명입니다.
[2]
맞는 말씀입니다. 첨부 이미지를 확인하니 해당 코드의 결과를 정확히 예측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해당 문제의 해결은 출력 결과물의 예상보다는 where와 having의 해석 순서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에 있습니다.
즉 지점이 세 군데 이상 있는 도시가 먼저 조회되는 것이 아닌 매출액이 1000 초과인 지점들을 먼저 조회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하는 문제라고 보시면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20-02-13 14:41:49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먼저 해당 문제의 문구는 이전에 출제되었던 문제를 그대로 옮겨온 것입니다.
[1]
'where 절을 통해 매출액이 1000을 초과하는 튜플을 조회한 후, 거기서 '소속도시'로 그룹을 지어 평균 매출액을 출력한다.' 는 코드에 대한 설명이며,
출력을 놓고 설명하게 되면 결국 매출액이 1000을 초과하는 튜플만을 모아두고, 평균을 조회하게 되므로 평균 1000이하의 튜플은 제외되므로 맞는 설명입니다.
[2]
맞는 말씀입니다. 첨부 이미지를 확인하니 해당 코드의 결과를 정확히 예측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해당 문제의 해결은 출력 결과물의 예상보다는 where와 having의 해석 순서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에 있습니다.
즉 지점이 세 군데 이상 있는 도시가 먼저 조회되는 것이 아닌 매출액이 1000 초과인 지점들을 먼저 조회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하는 문제라고 보시면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