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포수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에 대한 정답이
2. 요구 분석 단계에서 프로토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라고 적혀있는데요.
오히려 그래야 하는 게 아닌가 해서 여쭙니다.
그리고 17페이지에서 프로토타입 모형에 대한 설명에서
“프로토타입은 요구 분석 단계에서 사용하게 되며, 프로토타입의 평가가 끝나고 개발이 승인되면 다른 모형을 이용하여 본격적인 개발이 이루어진다.” 이라는 점도
그러한 생각이 들게 만드는 부분이기도 한데요.
폭포수 모델은 각 단계에 대한 경계가 명확한 선형 모델이기 때문에, 다음 모델로 넘어가면 돌이킬 수가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그러므로 요구 분석 단계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명확히 알기 위해서 프로토타입 모델을 하위 모델로 사용하는 정도로 보고 있는데요.
예를 들어, 일종의 시연성 프로그램을 만들고, 사용자는 그것을 사용한 다음에 좀 더 요구 분석을 좀 더 정확하게 하면 그 다음에 실제로 개발이 들어가는 거라고 보았습니다만.
그리고 또 하나의 예를 들어 실제로 PoC(Proof of Content) 프로그램을 개발 전에 만드는 것도 요구 분석 단계에서 프로토타입 모델을 도입했다고 봐도 될 것 같은데.
왜 이게 답이 되는 건지 설명을 해주셨으면 합니다.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음.. 맞는 말씀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폭포수 모델'만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수험자 분이 PM(Project Manager) 테스트를 위해 폭포수 모델에 대해 썼다고 가정한다면 정답입니다. (폭포수 모델에 프로토타입을 사용한 형태의 변형 폭포수 모델이 되겠네요)
다만 이 문제에서는 '폭포수 모델'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기를 요하고 있고,
2번 보기는 '프로토타입 모델'에 대한 특징입니다.
2가지의 모델은 단순히 모델로만 평가했을 때, 서로 하위 상위로 포함되는 형태가 아닌 별개의 모델입니다.
즉, 서로의 구현 과정과 특징들을 분리해야 하며, 폭포수 모델에 프로토타입을 구현하는 것은 가정되지 않죠.
수험자 분과 마찬가지로 요구분석 단계에서 프로토타입(시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이 폭포수 모델의 특징에 속하지는 않습니다.
(프로토타입 모델과 프로토타입(시제품)을 구분하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7-29 16:00:46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음.. 맞는 말씀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폭포수 모델'만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수험자 분이 PM(Project Manager) 테스트를 위해 폭포수 모델에 대해 썼다고 가정한다면 정답입니다. (폭포수 모델에 프로토타입을 사용한 형태의 변형 폭포수 모델이 되겠네요)
다만 이 문제에서는 '폭포수 모델'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기를 요하고 있고,
2번 보기는 '프로토타입 모델'에 대한 특징입니다.
2가지의 모델은 단순히 모델로만 평가했을 때, 서로 하위 상위로 포함되는 형태가 아닌 별개의 모델입니다.
즉, 서로의 구현 과정과 특징들을 분리해야 하며, 폭포수 모델에 프로토타입을 구현하는 것은 가정되지 않죠.
수험자 분과 마찬가지로 요구분석 단계에서 프로토타입(시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이 폭포수 모델의 특징에 속하지는 않습니다.
(프로토타입 모델과 프로토타입(시제품)을 구분하세요)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