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P352의 11번, 15번 질문입니다.
도서
2019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352
조회수
389
작성일
2019-07-28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11번 주소지정방식 중 오퍼랜드를 fetch한다는 의미가 오퍼랜드의 주소를 읽어들이고 주소가 가리키는 데이터값을 읽어들인다는 의미와 같은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주소지정방식에서 fetch라는 용어의 의미가 잘 와닿지 않습니다 ㅠㅠ 15번 256AH가 16진법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는데 3byte를 16진수로 표현하고 256AH와 더하여 256D가 되는데 이 과정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상대주소 지정방식이 프로그램 카운터값과 명령어주소를 더하여 최종주소가 결정되는 걸로 이해하고 있는데, 이 질문에서는 분기명령어 길이인 -75H가 프로그램 카운터값이라고 이해해도 되는건가요? ㅠㅠ 문제가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ㅠㅠ 도움 부탁드립니다
답변
2019-07-29 15:22:4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1]

예, 정확히 이해하고 계십니다.

fetch는 가지고 오다, 불러 오다 라는 영어 단어 의미 그대로 이해하셔도 무관합니다.

 

 

[15]

1. 일반적으로 기억장치의 워드 길이가 표현되지 않았다면 8bit를 하나의 워드로 칩니다. (1word=1byte)

2. PC는 다음 시작 주소를 갖고 있습니다.

3. 현재 명령어의 위치 주소가 256A이므로 하나의 명령어 길이가 3임을 보아 PC는 다음 시작 주소인 256D를 갖고 있을 것입니다. (+3)

4. PC값인 256D에 상대 명령어 주소(변위 값)인 -75를 더한다면

256D - 75 = 24F8이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19-07-29 15:22:4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1]

    예, 정확히 이해하고 계십니다.

    fetch는 가지고 오다, 불러 오다 라는 영어 단어 의미 그대로 이해하셔도 무관합니다.

     

     

    [15]

    1. 일반적으로 기억장치의 워드 길이가 표현되지 않았다면 8bit를 하나의 워드로 칩니다. (1word=1byte)

    2. PC는 다음 시작 주소를 갖고 있습니다.

    3. 현재 명령어의 위치 주소가 256A이므로 하나의 명령어 길이가 3임을 보아 PC는 다음 시작 주소인 256D를 갖고 있을 것입니다. (+3)

    4. PC값인 256D에 상대 명령어 주소(변위 값)인 -75를 더한다면

    256D - 75 = 24F8이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