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사용자 a, b, c가 존재하고 데이터 A, B, C가 있다고 가정할께요.
공개키 암호화 방식은 각 사용자의 공개키 3개와 데이터에 대한 비밀키 3개만 존재하면 되기 때문에 6개의 키로 사용자는 모든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개인키 암호화 방식은 a-A, b-B, c-C만 생각한다면 개인키 하나만으로 가능하겠으나, a가 B, C 또는 b가 A, C, c가 A, B에 접근한다고 가정해보세요. 이 때 또 다른 키를 생성해야 합니다.
a가 b에 접근하기 위해 a개인키와 b개인키를 합친 ab라는 키를 만들었다고 가정하면(ab=ba)
ab, bc, ca라는 3개의 키로 구성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공개키는 6개, 개인키는 3개 이상하죠?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개인키 개수 = n(n-1)/2
공개키 개수 = n*2
3명이면 개인키의 키 개수가 더 적습니다.
하지만 인원과 데이터가 많아질 수록 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합니다.
20명만 되도 개인키는 190개의 키를 관리해야 하는 반면에, 공개키는 40개의 키만 관리하면 되죠.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공개키가 좀 더 유용하여 최근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이 주로 이용되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2019-07-15 13:27:3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사용자 a, b, c가 존재하고 데이터 A, B, C가 있다고 가정할께요.
공개키 암호화 방식은 각 사용자의 공개키 3개와 데이터에 대한 비밀키 3개만 존재하면 되기 때문에 6개의 키로 사용자는 모든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개인키 암호화 방식은 a-A, b-B, c-C만 생각한다면 개인키 하나만으로 가능하겠으나, a가 B, C 또는 b가 A, C, c가 A, B에 접근한다고 가정해보세요. 이 때 또 다른 키를 생성해야 합니다.
a가 b에 접근하기 위해 a개인키와 b개인키를 합친 ab라는 키를 만들었다고 가정하면(ab=ba)
ab, bc, ca라는 3개의 키로 구성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공개키는 6개, 개인키는 3개 이상하죠?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개인키 개수 = n(n-1)/2
공개키 개수 = n*2
3명이면 개인키의 키 개수가 더 적습니다.
하지만 인원과 데이터가 많아질 수록 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합니다.
20명만 되도 개인키는 190개의 키를 관리해야 하는 반면에, 공개키는 40개의 키만 관리하면 되죠.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공개키가 좀 더 유용하여 최근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이 주로 이용되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