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암호와 기법 장단점
도서
2019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158
조회수
575
작성일
2019-07-12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공개키 암호와 방식의 장점이 키의 분배가 용이하고, 관리해야 할 키의 개수가 적다. 라는데 개인키 암호 방식과 비교했을 때 공개키 방식은 공개키+비밀키가 있는데 그러면 관리해야 할 키가 더 많아지는거 아닌가요?
답변
2019-07-15 13:27:3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사용자 a, b, c가 존재하고 데이터 A, B, C가 있다고 가정할께요.

 

공개키 암호화 방식은 각 사용자의 공개키 3개와 데이터에 대한 비밀키 3개만 존재하면 되기 때문에 6개의 키로 사용자는 모든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개인키 암호화 방식은 a-A, b-B, c-C만 생각한다면 개인키 하나만으로 가능하겠으나, a가 B, C 또는 b가 A, C, c가 A, B에 접근한다고 가정해보세요. 이 때 또 다른 키를 생성해야 합니다.

a가 b에 접근하기 위해 a개인키와 b개인키를 합친 ab라는 키를 만들었다고 가정하면(ab=ba)

ab, bc, ca라는 3개의 키로 구성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공개키는 6개, 개인키는 3개 이상하죠?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개인키 개수 = n(n-1)/2

공개키 개수 = n*2

 

3명이면 개인키의 키 개수가 더 적습니다.

하지만 인원과 데이터가 많아질 수록 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합니다.

20명만 되도 개인키는 190개의 키를 관리해야 하는 반면에, 공개키는 40개의 키만 관리하면 되죠.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공개키가 좀 더 유용하여 최근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이 주로 이용되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19-07-15 13:27:37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사용자 a, b, c가 존재하고 데이터 A, B, C가 있다고 가정할께요.

     

    공개키 암호화 방식은 각 사용자의 공개키 3개와 데이터에 대한 비밀키 3개만 존재하면 되기 때문에 6개의 키로 사용자는 모든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개인키 암호화 방식은 a-A, b-B, c-C만 생각한다면 개인키 하나만으로 가능하겠으나, a가 B, C 또는 b가 A, C, c가 A, B에 접근한다고 가정해보세요. 이 때 또 다른 키를 생성해야 합니다.

    a가 b에 접근하기 위해 a개인키와 b개인키를 합친 ab라는 키를 만들었다고 가정하면(ab=ba)

    ab, bc, ca라는 3개의 키로 구성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공개키는 6개, 개인키는 3개 이상하죠?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개인키 개수 = n(n-1)/2

    공개키 개수 = n*2

     

    3명이면 개인키의 키 개수가 더 적습니다.

    하지만 인원과 데이터가 많아질 수록 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합니다.

    20명만 되도 개인키는 190개의 키를 관리해야 하는 반면에, 공개키는 40개의 키만 관리하면 되죠.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공개키가 좀 더 유용하여 최근에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이 주로 이용되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