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5과목 2장 5-43 페이지 6번 문제
도서
2018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조회수
410
작성일
2018-10-12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6. 시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의 설명 중 틀린 것은? 문제에서

정답이 4번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보다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방식이 전송 대역폭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인데,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동일한 조건일 경우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보다 더 높은 전송 효율을 가진다고 되어있는데 서로 다른 이야기인가요?

답변
2018-10-15 09:19:00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동일한 의미입니다.

"전송 대역폭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라는 것은 "더 높은 전송 효율을 가진다."와 동일한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5-41쪽의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통계적 시분할 다중화기)의 설명을 보면,

"동일한 조건일 경우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보다 많은 수의 단말기들이 전송 매체에 접속할 수 있으며, 더 높은 전송 효율을 가진다."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해당 문제의 보기 4번이 틀렸음을 알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
    2018-10-15 09:19:00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동일한 의미입니다.

    "전송 대역폭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라는 것은 "더 높은 전송 효율을 가진다."와 동일한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5-41쪽의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통계적 시분할 다중화기)의 설명을 보면,

    "동일한 조건일 경우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보다 많은 수의 단말기들이 전송 매체에 접속할 수 있으며, 더 높은 전송 효율을 가진다."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해당 문제의 보기 4번이 틀렸음을 알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