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시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의 설명 중 틀린 것은? 문제에서
정답이 4번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보다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방식이 전송 대역폭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인데,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동일한 조건일 경우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보다 더 높은 전송 효율을 가진다고 되어있는데 서로 다른 이야기인가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동일한 의미입니다.
"전송 대역폭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라는 것은 "더 높은 전송 효율을 가진다."와 동일한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5-41쪽의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통계적 시분할 다중화기)의 설명을 보면,
"동일한 조건일 경우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보다 많은 수의 단말기들이 전송 매체에 접속할 수 있으며, 더 높은 전송 효율을 가진다."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해당 문제의 보기 4번이 틀렸음을 알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18-10-15 09:19:00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동일한 의미입니다.
"전송 대역폭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라는 것은 "더 높은 전송 효율을 가진다."와 동일한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5-41쪽의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통계적 시분할 다중화기)의 설명을 보면,
"동일한 조건일 경우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보다 많은 수의 단말기들이 전송 매체에 접속할 수 있으며, 더 높은 전송 효율을 가진다."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해당 문제의 보기 4번이 틀렸음을 알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