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2-128 28번
나노 메모리 용량이 2^8 * 200으로 되어있는데, 각 나노 메모리 워드가 명령어 종류를 가리키는 건가요? 제어 레지스터에서 8 bit으로 되어있어서 이미 256 종류가 충족되지 않았나 싶어서요
2. p.2-153 37번
수행중인 명령어 완료하고 인터럽트 하는거 아닌가요? 인터럽트 동작 원리에서는 끝까지 실행한다고 해서요. 그게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뜻한게 아닐까 싶어서요.
3. Baud, Bps의 차이가?
2단원 기억장치에서는 전송 속도로 2개를 동일하게 보는데, 5단원에서는 Baud를 변조 속도로 봐서 헷갈려서요
4. p.2-185 55
오버레이 기법을 사용된다고 볼 수 있는거 아닌가요? 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담을 수 있으니
5.p.2-186 65
히트 시간에 적중률 0.95 안 곱해도 됨?(p.2-176 10번과 뭐가 다른거죠?)
안녕하세요.
1. p.2-128 28번
나노 메모리 용량이 2^8 * 200으로 되어있는데, 각 나노 메모리 워드가 명령어 종류를 가리키는 건가요? 제어 레지스터에서 8 bit으로 되어있어서 이미 256 종류가 충족되지 않았나 싶어서요
[답변]
워드의 크기는 명령어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 수와 같습니다.
명령어의 종류가 256이므로 이는 2의 8승으로 표현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워드의 크기는 이와 같은 8비트가 됩니다.
2. p.2-153 37번
수행중인 명령어 완료하고 인터럽트 하는거 아닌가요? 인터럽트 동작 원리에서는 끝까지 실행한다고 해서요. 그게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뜻한게 아닐까 싶어서요.
[답변]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수행중인 명령어(인스트럭션)을 완료하고 처리합니다.
즉 현재 실행중이던 명령어는 끝까지 실행한 후 인터럽트를 처리합니다.
3. Baud, Bps의 차이가?
2단원 기억장치에서는 전송 속도로 2개를 동일하게 보는데, 5단원에서는 Baud를 변조 속도로 봐서 헷갈려서요
[답변]
Baud나 Bps를 이용한 속도 변환은 5과목에서 출제되니 속도 변환 관련 내용은 5과목 내용으로 서로를 구분해서 이해하시면 됩니다.
4. p.2-185 55
오버레이 기법을 사용된다고 볼 수 있는거 아닌가요? 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담을 수 있으니
[답변]
가상 메모리는 사용자에 의해 기법이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운영체제에서 자동으로 기법이 사용되는 것 입니다.
5.p.2-186 65
히트 시간에 적중률 0.95 안 곱해도 됨?(p.2-176 10번과 뭐가 다른거죠?)
[답변]
적중률이 0.95라는 것은 미스율은 0.05라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주어진 조건에 맞게 공식을 적용해 사용하면 됩니다.
2-176은 제시된 캐시 적중률을 계산을 위한 공식에 적용한 것이고
2-186은 제시된 캐시 미스율을 계산을 위한 공식에 적용한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8-17 18:12:03
안녕하세요.
1. p.2-128 28번
나노 메모리 용량이 2^8 * 200으로 되어있는데, 각 나노 메모리 워드가 명령어 종류를 가리키는 건가요? 제어 레지스터에서 8 bit으로 되어있어서 이미 256 종류가 충족되지 않았나 싶어서요
[답변]
워드의 크기는 명령어의 종류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 수와 같습니다.
명령어의 종류가 256이므로 이는 2의 8승으로 표현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워드의 크기는 이와 같은 8비트가 됩니다.
2. p.2-153 37번
수행중인 명령어 완료하고 인터럽트 하는거 아닌가요? 인터럽트 동작 원리에서는 끝까지 실행한다고 해서요. 그게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뜻한게 아닐까 싶어서요.
[답변]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수행중인 명령어(인스트럭션)을 완료하고 처리합니다.
즉 현재 실행중이던 명령어는 끝까지 실행한 후 인터럽트를 처리합니다.
3. Baud, Bps의 차이가?
2단원 기억장치에서는 전송 속도로 2개를 동일하게 보는데, 5단원에서는 Baud를 변조 속도로 봐서 헷갈려서요
[답변]
Baud나 Bps를 이용한 속도 변환은 5과목에서 출제되니 속도 변환 관련 내용은 5과목 내용으로 서로를 구분해서 이해하시면 됩니다.
4. p.2-185 55
오버레이 기법을 사용된다고 볼 수 있는거 아닌가요? 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담을 수 있으니
[답변]
가상 메모리는 사용자에 의해 기법이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운영체제에서 자동으로 기법이 사용되는 것 입니다.
5.p.2-186 65
히트 시간에 적중률 0.95 안 곱해도 됨?(p.2-176 10번과 뭐가 다른거죠?)
[답변]
적중률이 0.95라는 것은 미스율은 0.05라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주어진 조건에 맞게 공식을 적용해 사용하면 됩니다.
2-176은 제시된 캐시 적중률을 계산을 위한 공식에 적용한 것이고
2-186은 제시된 캐시 미스율을 계산을 위한 공식에 적용한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