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프로그램 크기가 2048 * 64비트라고 되어 있는데
해설에서는 마이크로 프로그램 크기가 2048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왜그렇게 되는 건가요?
그리고 어제 질문 드린거 중에서
여기서 where 점수 > 59라 되어 있는데 이거는 59 초과지 60점이상이 아니지 않나요? sql구문에서는 정수만 취급되는건가요?
59.5는 59 이상이지만 60 미만이 수 입니다
그런 경우도 있는데 왜 60점 이상이랑 59초과랑 같다고 볼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1)
제어 메모리(컨트롤 스토어)의 크기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크기 × 명령어의 수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 수'입니다.
문제에 주어진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크기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크기 × 명령어의 수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 수'를 의미합니다.
2048 × 64
마이크로 인스트럭션의 수(명령어의 수)가 128로 제시되었으므로 명령어의 수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 수는
128은 2의 7승이므로 명령어의 수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 수는 7이 됩니다.
그러므로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크기 × 명령어의 수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 수'는
2048 × 7
이 됩니다.
즉 먼저 제시된 것에서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크기를 가져오고 이후 주어진 인스트럭션 수를 이용해 명령어의 수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 수를 산출하면 됩니다.
2)
실제 출제되었던 문제로, 소수점과 관련된 별도의 추가 조건이 없으며, ③번이 명확히 틀린 내용으로 제시된 문제입니다.
이런 경우 제시된 내용을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점수 > 59 라고 정수형태로 제시되었으므로
59 초과 또는 60 이상으로 내용을 파악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7-27 09:30:42
안녕하세요.
1)
제어 메모리(컨트롤 스토어)의 크기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크기 × 명령어의 수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 수'입니다.
문제에 주어진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크기는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크기 × 명령어의 수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 수'를 의미합니다.
2048 × 64
마이크로 인스트럭션의 수(명령어의 수)가 128로 제시되었으므로 명령어의 수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 수는
128은 2의 7승이므로 명령어의 수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 수는 7이 됩니다.
그러므로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크기 × 명령어의 수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 수'는
2048 × 7
이 됩니다.
즉 먼저 제시된 것에서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크기를 가져오고 이후 주어진 인스트럭션 수를 이용해 명령어의 수를 나타낼 수 있는 비트 수를 산출하면 됩니다.
2)
실제 출제되었던 문제로, 소수점과 관련된 별도의 추가 조건이 없으며, ③번이 명확히 틀린 내용으로 제시된 문제입니다.
이런 경우 제시된 내용을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점수 > 59 라고 정수형태로 제시되었으므로
59 초과 또는 60 이상으로 내용을 파악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