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tion 154에서 디지털 변조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 한다고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section 155에서 PCM은 불연속 레벨(디지털) 변조로 분류 되어 있는데
디지털 변조로 분류되면서 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분류되는 건가요?
섹션 154에서 말하는 디지털변조와 155에서 말하는 디지털 변조의 의미 차이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흔히 키잉(Keying)이라고 하는 디지털 변조는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전송 회선에 적합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편이 변조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디지털 데이터인 0과 1을 어떠한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지에 따라 다른 것으로 진폭을 달리하는 진폭 편이 변조, 주파수를 달리하는 주파수 편이 변조, 위상을 달리하는 위상 편이 변조 등이 있습니다.
펄스 코드 변조는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아날로그 신호를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의 과정을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전자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고 후자는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변조 방식이라 하면 전자인 진폭 편이 변조, 주파수 편이 변조, 위상 편이 변조, 진폭 위상 변조를 말하며,
펄스 코드 변조는 디지털 변조 방식이라고 하지 않고 PCM 변조 방식이라고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7-10 09:20:24
안녕하세요.
흔히 키잉(Keying)이라고 하는 디지털 변조는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전송 회선에 적합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편이 변조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디지털 데이터인 0과 1을 어떠한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지에 따라 다른 것으로 진폭을 달리하는 진폭 편이 변조, 주파수를 달리하는 주파수 편이 변조, 위상을 달리하는 위상 편이 변조 등이 있습니다.
펄스 코드 변조는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아날로그 신호를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의 과정을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전자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고 후자는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변조 방식이라 하면 전자인 진폭 편이 변조, 주파수 편이 변조, 위상 편이 변조, 진폭 위상 변조를 말하며,
펄스 코드 변조는 디지털 변조 방식이라고 하지 않고 PCM 변조 방식이라고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