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설명해준 내용을 보면 D 플롭플립은 RS-FF에 인버터를 추가한 형식인데
36번 같은 경우는 JK-FF에 인버터를 추가한 형식입니다
JK-FF에 인버터를 추가하여도 D-FF이라고 볼 수 있는건가요?
49번은 왜이렇게 되는지 전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진행 과정을 더 자세히 알 수 없을까요?
51번은
0, 2, 5가 X로 취급되는데
0,1,3,2 도 묶음으로 볼 수 없는건가요?
X는 어떤 경우라도 다 묶어지는 거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1)
JK는 모든 플립플롭의 기능을 포함합니다.
JK를 이용해서도 D 플립플롭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2)
2-16쪽의 전가산기 진리표에 의해
3개의 입력에 대한 Sum과 Carry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개의 입력에 대한 8개의 출력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3-197쪽 해설의 논리회로 표와 같이
3×8 디코더에 Sum과 Carry를 연결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3×8 디코더 1개와와 Sum으로 가는 OR게이트와 Carry로 가는 OR 게이트, 즉 2개의 OR 게이트가 사용됩니다.
3)
X는 많은 수로 묶기 위한 용도인데,
X만 남아있는 0과 2 부분을 추가로 묶을 때 이미 묶여진 2묶음 안에서 X만 추가되는 것이므로
의미가 없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7-02 10:06:33
안녕하세요.
1)
JK는 모든 플립플롭의 기능을 포함합니다.
JK를 이용해서도 D 플립플롭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2)
2-16쪽의 전가산기 진리표에 의해
3개의 입력에 대한 Sum과 Carry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개의 입력에 대한 8개의 출력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3-197쪽 해설의 논리회로 표와 같이
3×8 디코더에 Sum과 Carry를 연결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3×8 디코더 1개와와 Sum으로 가는 OR게이트와 Carry로 가는 OR 게이트, 즉 2개의 OR 게이트가 사용됩니다.
3)
X는 많은 수로 묶기 위한 용도인데,
X만 남아있는 0과 2 부분을 추가로 묶을 때 이미 묶여진 2묶음 안에서 X만 추가되는 것이므로
의미가 없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