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떨어진건 아니지만 좀 억울합니다.
이론잡으면 기출도 저절로 잡힐줄 알고 지금까지 이론만 죽어라 팟는데,
기출문제보니, 이론하고 아예 다른 유형의 공부법이네요.
결국에는 기출문제 답을 외우는 방식으로 접근해야했었는데,
이론공부에 시간 90% 투자해서 떨어지게 생겼습니다.
지금부터, 시험때까지 2017~2012년 기출 다 외워야 하는데,
이건 솔직히 소화하기 힘든 공부량인것같습니다.
이렇게 떨어지면 진짜 너무 억울할것같네요.
혹시나 여기서 어떻게 해야할 조언있으면 좀 부탁드립니다.
그냥 지금부터 기출만 계속 팔예정입니다. 후... ㅠㅠㅠ
짜증나네요.
근데 이걸왜 묻고 답하기에 올리고있는지 모르겠네요 ㅋㅋ;; ㅠㅠ
안녕하세요.
필기는 문제 은행 방식으로 출제되다 보니 기출문제가 동일하거나 변형된 형태로 반복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교재 첫 머리글에서 언급한 학습 방법처럼 매 섹션의 끝에 나오는 기출문제 따라하기를 먼저 공부하면서 문제가 어떻게 출제되는지 어떤 것을 자세하게 공부해야 하는지 먼저 감을 잡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변형된 기출문제 유형까지 대비하려면 이론적인 내용도 학습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기출문제가 기반이 된 상태에서 학습이 진행되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학습하세요.
또한 왼쪽의 커뮤니티 - 합격전략/수기 코너에 등록된 여러 유형의 수험생들의 학습 방법을 참고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되니 꼭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3-05 09:19:32
안녕하세요.
필기는 문제 은행 방식으로 출제되다 보니 기출문제가 동일하거나 변형된 형태로 반복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교재 첫 머리글에서 언급한 학습 방법처럼 매 섹션의 끝에 나오는 기출문제 따라하기를 먼저 공부하면서 문제가 어떻게 출제되는지 어떤 것을 자세하게 공부해야 하는지 먼저 감을 잡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변형된 기출문제 유형까지 대비하려면 이론적인 내용도 학습해야 합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기출문제가 기반이 된 상태에서 학습이 진행되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학습하세요.
또한 왼쪽의 커뮤니티 - 합격전략/수기 코너에 등록된 여러 유형의 수험생들의 학습 방법을 참고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되니 꼭 참고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