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번에서 튜플을 유일하게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조합을 의미하는 키(key)가
후보키(Candidate Key)라는데요 그런데 속성들의 조합이라는 것은 학번+주민번호도 포함 되는 것 아닌가요?
그래서 저는 슈퍼 키(Super Key)라고 생각했습니다.
튜플을 유일하게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조합이라는 말이 최소성에 어긋나게 느껴지는데
최소성에 대해서도 조금 더 설명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소성은 모든 레코드들을 유일하게 식별하는데 꼭 필요한 속성만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수강> 릴레이션에서 '학번+과목명'은 다른 튜플을 구별할 수 있는 결정자가 됩니다.
'학번' 하나만으로도 아니고 '과목명' 하나만으로도 결정자가 될 수 없으므로
모든 레코드들을 유일하게 식별하는데 꼭 필요한 '학번+과목명'으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최소성을 만족합니다.
키를 선정할 때는
우선 슈퍼키를 선정하고 그 중에서 후보키를 선정합니다. 그런 다음 후보키 중에서 기본키를 선정하는 것이죠.
<학생> 릴레이션에서의 슈퍼키는
'학번’, ‘주민번호’, ‘학번+주민번호’, ‘주민번호+성명’, ‘학번+주민번호+성명’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학번+주민번호’, ‘주민번호+성명’, ‘학번+주민번호+성명’은 속성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튜플들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최소성을 만족하지 못해 후보키는 되지 못합니다.
후보키는 '학번', '주민번호'가 됩니다. 이 중에서 기본키를 선정하면 되는 것이죠.
<수강> 릴레이션에서는 속성이 2개인데 모두 중복된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슈퍼키는 '학번+과목명' 뿐이고 최소성도 만족하므로 후보키이면서 기본키가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2-21 10:08:02
안녕하세요.
최소성은 모든 레코드들을 유일하게 식별하는데 꼭 필요한 속성만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수강> 릴레이션에서 '학번+과목명'은 다른 튜플을 구별할 수 있는 결정자가 됩니다.
'학번' 하나만으로도 아니고 '과목명' 하나만으로도 결정자가 될 수 없으므로
모든 레코드들을 유일하게 식별하는데 꼭 필요한 '학번+과목명'으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최소성을 만족합니다.
키를 선정할 때는
우선 슈퍼키를 선정하고 그 중에서 후보키를 선정합니다. 그런 다음 후보키 중에서 기본키를 선정하는 것이죠.
<학생> 릴레이션에서의 슈퍼키는
'학번’, ‘주민번호’, ‘학번+주민번호’, ‘주민번호+성명’, ‘학번+주민번호+성명’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학번+주민번호’, ‘주민번호+성명’, ‘학번+주민번호+성명’은 속성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튜플들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최소성을 만족하지 못해 후보키는 되지 못합니다.
후보키는 '학번', '주민번호'가 됩니다. 이 중에서 기본키를 선정하면 되는 것이죠.
<수강> 릴레이션에서는 속성이 2개인데 모두 중복된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슈퍼키는 '학번+과목명' 뿐이고 최소성도 만족하므로 후보키이면서 기본키가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