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46쪽에 핵심 87번 1번 문제요
도서
2018 시나공 총정리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46
조회수
894
작성일
2018-02-14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분기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기억장치 위치의 주소가 256AH이고 명령어에 지정된 변위 값이 -75H인 경우 분기되는 주소의 위치는?(단, 분기 명령어 길이는 3바이트고 상대 주소모드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답 : 24F8H번지

라고 했는데 왜 이렇게 나오는지 밑에 해설을 봐도 모르겠어요. 왜 3바이트라서 256D가 돼요? 왜 3바이트라서 256A에서 3을 더해준거에요?

그리고 왜 256D + (-75) 의 결과가 24F8로 나오죠? 제가 계산할 땐 자꾸 다른 값이 나와서요ㅜㅜ

답변
2018-02-19 09:39:25

안녕하세요.

256AH 라는 것은 마지막 H가 16진수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16진수 256A입니다.

분기 명령어의 길이가 3바이트 이므로

현재 명령어의 주소는 256A이고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 즉 분기할 명령의 주소는 256A보다 3바이트 더해진

256D입니다. 256A, 256B, 256C, 256D입니다.

다음에 실행할 명령의 주소가 256D인데 변위 값이 -75H, 즉 16진수 -75이므로

256D + (-75)를 수행하면 분기되는 주소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16진수 계산 방식으로

256D

- 75

------

24FB

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8-02-19 09:39:25

    안녕하세요.

    256AH 라는 것은 마지막 H가 16진수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16진수 256A입니다.

    분기 명령어의 길이가 3바이트 이므로

    현재 명령어의 주소는 256A이고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 즉 분기할 명령의 주소는 256A보다 3바이트 더해진

    256D입니다. 256A, 256B, 256C, 256D입니다.

    다음에 실행할 명령의 주소가 256D인데 변위 값이 -75H, 즉 16진수 -75이므로

    256D + (-75)를 수행하면 분기되는 주소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16진수 계산 방식으로

    256D

    - 75

    ------

    24FB

    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