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2-48) 2진수의 감산 개념내용
도서
2018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48
조회수
298
작성일
2018-02-02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2의 보수를 활용하여
감산(뺄셈) 연산을 덧셈으로 작업하는 개념은 이해했습니다.
이때, 자리올림이 발생할때 자리올림수를 버린다. 라는 말이
음수끼리의 가산계산에서 Sign Bit가 할당된 1Bit에 A음수 2진부호 1과 B음수 2진부호 1이 합해져서
결과값의 Sign Bit에는 0이라는 값이 결과가 되고 캐리된 자리올림수를 버릴때 overflow가 발생하나 무시한다는건가요?
2-73쪽 29번 문제를 보았을때
자료가 4Bit 짜리라면(부호제외)
10진수로 생각했을때 -16~15까지를 표현할 수 있는데
가산 혹은 감산의 결과가 저 범위보다 작은수면 underflow, 큰 수면 overflow인 건가요?
답변
2018-02-05 09:59:22
안녕하세요.
표현 가능한 범위를 넘어서면 오버플로이고 표현 가능한 범위에 미달하면 언더플로입니다.
감산 연산에서 자리올림수 발생은 오버플로이므로 그 값을 더하거나 버린다기 보다는 감산 연산의 특성으로
1의 보수인 경우 자리 올림수를 결과에 더하고 2의 보수인 경우 자리 올림수를 버린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2-05 09:59:22
안녕하세요.
표현 가능한 범위를 넘어서면 오버플로이고 표현 가능한 범위에 미달하면 언더플로입니다.
감산 연산에서 자리올림수 발생은 오버플로이므로 그 값을 더하거나 버린다기 보다는 감산 연산의 특성으로
1의 보수인 경우 자리 올림수를 결과에 더하고 2의 보수인 경우 자리 올림수를 버린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