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도 3회차 기출문제 98번에 하나의 정보를 여러개의 반송파로 분할하고, 분할된 판송파 사이의 주파수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교 다중화해서 전송하는 통신방식이라는 새로운 지문이 나왔었는데요.
울트라 HDTV(4K UHDTV)의 웅장하고 입체적인 화면을 제대로 즐기려면 꽤 오랜 시일이 걸리는데, 진정한 의미의 UHDTV가 되기 위해선, 초고화질로 송출을 시작해야 하는데, 일단 방송국의 카메라 등, 모든 기자재와 새로운 송출 시스템이 필요한데, 평창 동계 올림픽을 코앞에 두고, UHDTV판촉전이 치열한 쟁탈전을 벌이고 있는데요, 실제로 이 UHDTV가 제 구실을 할런지는 의문이라는 지적이 많지만, 전체 프로그램의 10~15%정도만이 UHDTV용으로 송출될 예정이어서 당장 UHDTV의 진수를 맛보기는 어렵습니다.
이르면, 2019년부터 지상파 UHDTV 방송이 전국적으로 일제히 확대되면, 화면 해상도가 4배 낮은 풀HDTV 는 눌릴 수밖에 없습니다.
다음달에 한랭지역인 강원도에서 개최하는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중계화면이 4K UHD장비로 제작하므로, 현재의 풀HDTV론 제대로 감상하기 어렵습니다.
이 같은 강점과 약점에도 불구하고 시중에 시판되는 LG전자와 삼성전자의 지상파 UHDTV는 지나치게 비쌉니다. LG전자와 삼성전자의 55인치 이상의 UHDTV를 사려면 똑같은 크기의 55인치 풀HDTV보다 무려 50만원 이상 차이납니다.
OFDM이 아마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지원되는 지상파 UHDTV(4K 울트라 HD급 초고화질 방식 - ATSC 3.0 : 북미 표준형)에 널리 쓰이나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에서 현재 송출되는 지상파 UHD 4K 방송에는 OFDM 방식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 비디오 압축 방식 : MPEG-H Part.2인 H.265
- 오디오 압축 방식 : MPEG-H Part.3인 MPEG-H 3D Audio
- 오류 정정 방식 : LDPC 부호 등
- 변조 방식 : QAM 방식
- 전송 방식 : OFDM 방식
현재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2021년까지 전국으로 확대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물론 이번 동계 올림픽도 UHD 방송으로 송출될 예정입니다.
이로 인해 기존 HD 제품으로는 방송 수신이 원할하지 못해 추가적인 셋톱박스나 지상파 UHD TV 안테나를 사용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8-01-09 09:42:35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에서 현재 송출되는 지상파 UHD 4K 방송에는 OFDM 방식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 비디오 압축 방식 : MPEG-H Part.2인 H.265
- 오디오 압축 방식 : MPEG-H Part.3인 MPEG-H 3D Audio
- 오류 정정 방식 : LDPC 부호 등
- 변조 방식 : QAM 방식
- 전송 방식 : OFDM 방식
현재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2021년까지 전국으로 확대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물론 이번 동계 올림픽도 UHD 방송으로 송출될 예정입니다.
이로 인해 기존 HD 제품으로는 방송 수신이 원할하지 못해 추가적인 셋톱박스나 지상파 UHD TV 안테나를 사용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