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번문제: 기억장치 내에서 프로그램과 자료의 재배치가 가능하게 되려면 사용되는 주소는 다음 중 어떤 주소이어야 하는가?
답: 2 (상대주소)
의문점: 답은 4번(약식주소) 아닌가요? 2-98 베이스레지스터 부분을 보면, '재배치' 용어에 대한 언급이 나옵니다. 재배치란, 베이스 레지스터의 값과 명령어에 표현된 변위값을 더해 접근하고자 하는 기억장소의 유효주소를 얻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계산에 의한 주소지정방식, 즉 '약식주소'를 의미하는게 아닌가요? 따라서 답은 '약식주소'라고 생각하는데, 왜 아닌지 궁금합니다. 상대주소가 약식주소에 포함되는 개념이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기억장치 내에서 프로그램과 자료의 재배치(Relocation)가 가능하게 되려면 사용되는 주소는 다음 중 어떤 주소이어야 하는
가?
프로그램 내에서 재배치가 이루어지려면 현재 자신의 위치가 중요합니다. 그 위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죠.
이때 사용되는 방식이 상대주소, 베이스 레지스터 이용, 인덱스 레지스터 이용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을 계산에 의한 주소지정방식이라고 하는데, 이 계산에 의한 주소지정방식을 약식주소라고 합니다.
결국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자료의 재배치를 위해 주소를 다시 계산하는 계산에 의한 주소지정방식(약식주소)을 묻는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보기 중 계산에 의한 주소지정방식은 상대주소가 됩니다.
문제가 썩 좋은 문제라 할 수 없어서 인지 한 번 출제된 이후 다시 출제되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류의 문제도 있구나 정도로만 확인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7-08-23 09:54:34
안녕하세요.
기억장치 내에서 프로그램과 자료의 재배치(Relocation)가 가능하게 되려면 사용되는 주소는 다음 중 어떤 주소이어야 하는
가?프로그램 내에서 재배치가 이루어지려면 현재 자신의 위치가 중요합니다. 그 위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죠.
이때 사용되는 방식이 상대주소, 베이스 레지스터 이용, 인덱스 레지스터 이용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을 계산에 의한 주소지정방식이라고 하는데, 이 계산에 의한 주소지정방식을 약식주소라고 합니다.
결국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자료의 재배치를 위해 주소를 다시 계산하는 계산에 의한 주소지정방식(약식주소)을 묻는 문제입니다.그러므로 보기 중 계산에 의한 주소지정방식은 상대주소가 됩니다.
문제가 썩 좋은 문제라 할 수 없어서 인지 한 번 출제된 이후 다시 출제되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류의 문제도 있구나 정도로만 확인하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